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비정규직·여성·저임금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에게 더 가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7∼10일 전국 만 19∼55세 직장인 1000명을 상대로 ‘코로나19 8개월 직장생활 변화’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 21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 8개월간 실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률은 전체 평균 15.1%였다. 실직 경험을 했다는 응답은 비정규직(31.3%)이 정규직 (4.3%)보다 7배 이상 많았다.
소득 수준에 따른 차이도 있었다. 실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률은 월 소득 150만원 미만 저임금 노동자가 29.9%로 월 소득 500만원 이상의 고임금 노동자(3.3%)보다 9배 넘게 높았다.
또 실직을 경험한 여성 비율은 20.0%로 남성(11.4%)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다.
세부적으로는 서비스직(23.7%)과 생산직(21.0%)이 사무직(7.6%)보다 높게 나타났다.
소득 감소 역시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에서 많이 일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8개월 전과 비교해 개인 소득이 줄었다고 답한 응답률은 비정규직(56.0%)이 정규직(19.3%)보다 3배 가까이 높았다. 고용 형태별로는 일용직이 71.1%로 가장 많았고, 프리랜서 및 특수고용(67.8%), 아르바이트 시간제(55.9%), 임시직(35.8%) 등 순이었다.
비자발적 휴직을 경험했다는 응답률도 18.4%로 나타났다.
시민단체는 “불안감과 우울감 모두 비정규직, 여성, 저임금노동자가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홍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