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게소는 테이크아웃만… 추석 방역 초비상, 정부의 초강수

입력 2020-09-20 17:02

정부가 방역 성패의 변곡점이 될 ‘추석 대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머리를 쥐어 짜냈다. 이번 추석에는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이 없다.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식사는 못하고 모든 메뉴는 ‘포장’만 허용된다.

귀성길 지원보다 ‘방역’에 무게
국토교통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방역에 초점을 맞춘 추석 특별교통대책을 20일 발표했다. 원활한 귀성길을 지원하던 과거 연휴 교통대책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매년 연휴 때마다 제공하던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책부터 삭제됐다. 2017년 유료도로법 시행령 개정 이후 설날 및 추석 당일·전날·다음날까지 3일간에는 고속도로 전부 또는 일부를 통행하는 차량의 요금을 감면할 수 있도록 했다.

꽉 막힌 고속도로에서 쉼터 역할을 하던 고속도로 휴게소도 제한적으로 운용한다. 이용 시 출입명부를 작성해야 하고 휴게소에서 식사를 할 수 없다.

대중교통 이용도 최소화하기로 했다. 정부 차원에서 조율이 가능한 철도의 경우 전체 좌석의 50%만 판매하도록 제한했다. 연안 여객선도 승선 정원의 50% 수준에서 관리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강제적 이용 제한이 어려운 버스·항공편은 창가 좌석 우선 예매를 권고하고 현금 결제 시 명단을 관리토록 지침을 마련했다. 버스 예비차량을 5.0~14.4% 늘려 이용객 밀집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더했다.


이동객 추정치 감소…‘미정’ 많은 게 변수
각종 대책을 마련했지만 이동 인원이 실제로 줄어들지는 미지수다. 일단 추정치는 줄었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추석 이동 인원은 지난해 추석(3215만명)보다 28.5% 감소한 2759만명으로 추계됐다. 하지만 설문 응답자의 19.3%는 코로나19 상황을 보고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평년(5.0%)보다 4배 정도 많다.

만약 코로나19 확진자수가 감소 추세를 이어갈 경우 귀성 결심이 다시 설 수 있다. 또 귀성객들이 여행으로 발길을 돌릴 경우 방역은 위기를 맞는다. 제주도만 해도 이번 연휴에 20만명 가까이 방문할 전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실제 이동 규모는 변수가 많아서 상당히 변동성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