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박덕흠, 윤창현 의원이 잇따라 이해충돌 논란에 휩싸였다. 박 의원은 가족 명의 건설회사로 피감기관의 공사를 수주한 과정에 대한 의혹이 제기됐고, 윤 의원은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에 사외이사로 참여한 이력에 따라 정무위원으로 활동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참여연대는 20일 성명을 내고 윤 의원의 국회 정무위원회 사임을 요구했다. 참여연대는 “윤 의원은 2012년부터 지난 4월 총선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기 직전까지 삼성물산의 사외이사이자 감사위원으로 활동해왔으며, 2015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불법 승계를 위한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합병 당시 합병 과정에도 적극 관여해온 것으로 나타났다”며 “윤 의원이 국회 정무위에서 활동하는 것은 그 자체로도 이해충돌 여지가 매우 크다”고 주장했다.
앞서 정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도 윤 의원의 정무위 사임을 요구했다. 박용진 의원은 “정무위에는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이 (피감기관으로) 소속돼 있다. 국정감사에서 (삼성물산 합병과 관련한) 관련자들을 증인으로 부를 텐데 이 관련자가 앞에 앉아 있는 셈이 된다”며 “윤 의원이 당시 사외이사로 적극적으로 활동했고, 합병의 공신이라고 표현됐던 만큼 사임하는 게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피감기관들로부터 1000억원대 공사를 수주하는 과정에서 의혹이 제기된 박덕흠 의원은 21일 기자회견을 연다. 지금까지 제기된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는 취지로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박 의원은 피감기관인 국토교통부·서울시 산하기관에서 400억여원 규모의 공사를 수주했다는 의혹에 대해 직권남용과 부패방지법·공직자윤리법 위반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됐다.
국토위원으로 5년간 활동하며 자신과 가족이 있는 건설사들이 국토부 산하기관으로부터 공사 수주와 신기술 사용료 명목으로 1000억여원을 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경기도와 경상북도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수주한 공사 금액도 487억원에 달한다는 추가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