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20일 문재인 대통령 팬덤을 향해 “정치인의 이익을 챙겨주려고 자기가 하인이 되는 줄도 모르고 열심히 다닌다. 측은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안 대표는 이날 오전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한 서민 단국대 의과대 교수와의 대담에서 “국민들이 정치의 주인인데 주권도 다 뺏기고 자기가 주인이라는 인식을 완전히 잊고 구천에서 떠도는 것 같다”며 이같이 평가했다.
안 대표는 “주인 된 입장에서는 자신의 이익을 보호해주지 못하고 나라 경영을 못하면 따끔하게 야단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교수도 “팬덤은 가수를 중심으로 똘똘 뭉쳐서 어떤 후진 앨범을 내더라도 무조건 사주고 베스트셀러를 만드는 것”이라며 “아이돌 같은 대중문화에서는 이해할 수 있지만 정치로 가면 문제가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치는 팬덤만이 아니라 전 국민이 대상이어야 한다”며 “그런데 팬덤이 너무 강력하게 작동해 대통령이 어떤 한심한 일을 해도 지지율이 절반은 나오는 것이다. 이러니 대통령이 대충 해도 되겠다는 생각을 해서 자기들 이익만을 위한 정치를 한다”고 비판했다.
서 교수는 “대통령이 국민을 지켜야 하는데 문 대통령의 팬덤은 자기들이 대통령을 지킨다고 설치니 어이가 없다”며 “대통령이 오히려 팬덤에 편승하는 정치를 하고 있는 게 안타깝다. 대통령의 민주주의 인식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안 대표는 “이번 정권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정권이다. 과거 정부가 구(舊)적폐인데 그렇게 보면 현재 정부는 신(新)적폐라고 생각할 수 있다”며 “구적폐가 빨갱이를 이야기했다면 신적폐는 친일파를 주장하면서 정말 닮은꼴”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정부는 한마디로 무능·위선 정부”라며 “진보정권을 자처하는지 모르지만 사실상 퇴보 정권”이라고 지적했다.
안 대표와 서 교수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에 대해서도 비판을 쏟아냈다. 서 교수는 “검찰 개혁을 범죄자 비리 옹호 수단으로 사용하는 순간부터 검찰 개혁의 동력을 잃는다”며 “추 장관의 보좌관이 전화를 걸어 아들의 휴가를 연장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그 보좌관은 본질은 검찰 개혁이라고 했다. 그다음부터 인터넷에 온갖 패러디가 나온다. 검찰 개혁 자체가 동력을 잃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