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디지털 뉴딜 초안 공개…글로벌 스마트 도시 도약

입력 2020-09-20 10:56

인천시는 ‘디지털 전환을 통한 인천경제와 생활수준 향상’이라는 비전을 이루기 위한 ‘인천형 디지털 뉴딜 종합계획’ 초안을 공개했다.

인천시는 인천경제와 시민생활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4대 전략 12개 과제를 세우고 2025년까지 약 2조원을 투자해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지난 18일 인천형 뉴딜 TF 디지털 분과 영상회의를 열고 ‘인천형 디지털 뉴딜 종합계획’ 초안을 공개했다. 시는 구체적인 과제와 사업규모는 일반시민, 지방의회, 관련 시민단체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10월 중순에 최종 확정한다.

이날 인천시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가속화, 제조업 중심의 인천시 경제구조의 고도화로 첨단 산업 육성을 통한 미래 먹거리 창출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시는 스타트업 파크,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스마트 관광도시와 스마트 산단 선정 등 민선7기 이후 집중적으로 유치한 디지털 경제 기반이 인천경제의 디지털 전환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시는 ▲첨단 디지털 산업 육성 ▲제조업과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 지원 ▲시민이 체감하는 스마트 도시 구축 ▲데이터와 AI에 기반한 지능형 지방정부 혁신 추진 등 ‘디지털 뉴딜의 4대 추진전략’을 밝혔다.

4대 추진전력의 주요 과제를 살펴보면 지난해 시가 유치한 스타트업 파크(송도 소재)를 중심으로 하는 AI 트리플 파크, 인천대 제물포 캠퍼스, 계양 테크노 밸리를 잇는 (가칭) 인천 DNA(Data-Network-AI) 혁신밸리를 2026년까지 조성한다.

또한 인천의 공항 입지를 활용한 드론, 도심항공 실증도시 구축, 항공정비(MRO) 특화단지 조성과 함께 인천 서구의 로봇랜드를 2024년까지 로봇산업 혁신 클러스터로 조성한다는 복안이다.

2025년까지 인천전역에 1650개의 스마트 공장 전환을 지원하는 등 제조업의 스마트화에 속도를 내고, 2022년까지 스마트 물류 공유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노후산단의 스마트화를 통해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시 전역의 CCTV(1만3600여대)를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을 2021년까지 구축하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함께 개발한 AI 안전솔루션(교통, 지진, 침수, 미세먼지 등 4대 분야)을 내년부터 현업에 적용하는 등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시민안전관리를 강화한다.

전국 최초로 선정된 스마트 관광도시 콘텐츠를 내년 4월까지 개항장 일원에 구축하고, 주차, 복지, 시민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능형 서비스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정확한 도시정보를 통합관리하는 도시관리계획 정보 스마트 시스템을 시범구축하고, 2030년에는 인천시 전 지역에 대해 디지털 지적을 구축한다.

박남춘 시장은 “민선7기에서 다져온 디지털 경제 인프라를 활용해 인천이 첨단산업 기지로 도약하는 동시에 기존 산업의 원활한 디지털 전환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면서 “디지털 전환이 우리시에 기회가 될지 위기가 될 지는 바로 우리 인천시 공직자 손에 달려 있다. 최종발표 때까지 충분한 의견수렴과 함께 2021년 예산 반영, 국비 확보 등 세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인천=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