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판매업체나 각종 설명회 관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잇따르는 가운데 지난달 중순 이후 발생한 관련 확진자만 370여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때문에 방역당국은 방문판매업체나 각종 소모임을 통한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구상권을 적극적으로 청구할 것이라 밝혔다.
19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 이후 이날 정오까지 방문판매 및 각종 설명회 관련 집단감염 사례는 총 10건으로 관련 확진자를 모두 합치면 375명에 달했다. 설명회나 모임에 직접 참석해 확진된 사람이 138명이고, 이들과의 접촉으로 인한 추가 전파자가 237명이다. 확진자에게서 n차 전파된 가족, 지인의 사례가 더 많았던 것이다.
구체적인 사례를 보면 서울 관악구 ‘무한구(九)룹’과 관련해서는 지난달 20일 첫 환자(지표환자)가 나온 이후 이달 10일까지 총 85명이 확진됐다. 종사자 및 방문자는 6명이지만 추가 전파 사례가 79명에 달했다. 대전의 한 건강식품 설명회와 관련해서는 이달 1일 첫 환자가 나온 이후 불과 2주 만에 누적 확진자가 59명까지 늘었다. 이곳 역시 종사자 및 방문자는 8명뿐이지만 추가 전파 사례는 51명에 달한다.
방문 판매나 각종 설명회를 통한 집단 감염은 전국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부산에서는 오피스텔 모임 관련(누적 11명), 오피스텔 부동산 경매 관련(27명), 오피스텔 방문판매업 관련(9명) 등 3건의 집단감염이 확인됐다. 대구·경북에서는 동충하초, 산양삼 설명회 등을 중심으로 한 감염 전파가 계속 이어졌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방문판매 및 각종 설명회 집단감염 배경과 관련해 “밀집·밀폐·밀접한 환경에서 장시간 대화를 나누거나 음식을 나눠 먹는 등 코로나19의 전파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대구 동충하초 설명회에서는 커피나 수박을 나눠먹는 환경에서 참석자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유일하게 감염되지 않았던 1명은 2시간 내내 KF94 마스크를 쓰고 있었고 함께 음식을 나눠먹지 않았다.
권 부본부장은 “이런 위험한 상황과 관련된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방문판매업의 각종 소모임, 투자 설명회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구상권 청구도 적극적으로 시행하겠다”고 강조하며 특히 “고위험시설인 방문판매업체는 집합금지명령을 준수하고 중장년층은 방문판매와 관련된 행사나 투자 그리고 각종 설명회 등에는 참여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