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두(60) 국방부 장관이 18일 2년의 임기를 마치고 야인(野人)으로 돌아간다.
정 장관은 퇴임을 앞두고 언론 인터뷰에서 “평생 군인으로서, 공직자로서 부하 장병에게 도덕적으로 한 점 부끄럽지 않게 살았다고 자부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정 장관은 1978년 공군사관학교 30기로 입교해 공군참모총장을 거쳐 합참의장에서 물러날 때까지 40년 8개월간 군에서 복무했다. 2018년 9월 시작된 장관 재임 기간까지 43년에 가까운 군 생활을 마감한다.
정 장관은 합참의장, 장관으로 재임한 1126일 동안 주말을 쉰 날이 손에 꼽힌다며 “한반도 안보 환경에 최근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상황까지 더해지면서 전방위적으로 어려운 시기였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 보람 있는 일로는 올해 코로나19 방역에 군이 적극 기여한 점을 꼽았다. 그는 “초기부터 전시상황에 준해 지원하라고 지시했다”며 “국군간호사관학교 졸업식을 앞당겨 간호장교들을 즉각 투입하고, 단기간에 군 병상을 지원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물론 그의 재임 기간도 순탄치 않았다. 북한 목선이 군과 해경의 경계·감시망을 뚫고 삼척항에 입항한 사건에 이어 충남 태안의 중국인 소형보트 밀입국 사건 등 ‘경계 실패’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다.
최근에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의 휴가 의혹 문제가 불거지면서 군 당국의 허술한 기록 및 행정조치가 도마 위에 올랐다.
정 장관은 지난 1일 열린 국회 국방위에서 “절차에 따라 병가와 휴가가 진행된 것으로 파악한다. 간부의 면담 일지에는 기록이 돼 있는 것으로 제가 확인했다”면서도 “지적한 대로 일부 행정처리 이런 것들을 정확하게 (하지 못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정 장관은 인터뷰에서 “누구를 옹호한 것이 아니라 장관으로서 국민께 있는 그대로 설명했던 것”이라면서 “늘 모든 것은 공정하고 올바르게 지휘 관리를 해야 한다는 신념으로 살아왔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오후 1시30분 국방부 청사에서 열리는 이·취임식에서 서욱 신임 장관에게 국방부기(旗)를 물려준다. 퇴임 후에는 한국국방연구원(KIDA) 자문위원으로 활동할 계획이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