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재판만 정리되면’…친문 김경수 다시 날아오르나

입력 2020-09-17 17:47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후 경남 창원시 태림산업에서 열린 스마트그린 산단 보고대회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왼쪽은 김경수 경남도지사.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원조 복심’으로 불리는 김경수 경남도지사를 차기 대권 주자로 주목하는 여권 내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 지사가 ‘드루킹 사건’ 재판에서 무죄를 받는다면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나 이재명 경기지사와 맞먹는 유력한 대선 후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해찬 민주당 전 대표는 지난 16일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김 지사의 차기 대권 도전 가능성에 대해 “만약 (재판에서) 살아 돌아온다면 지켜봐야 할 주자는 맞다”고 말했다. 이어 “일단 재판결과를 지켜봐야 한다. (김 지사가) 동안이라 그렇지 대선 때 55세면 어리지도 않다”며 “이재명 경기지사하고 별 차이도 안 난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드루킹’ 김동원씨와 공모해 포털사이트 댓글조작에 관여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김 지사는 지난해 1월 1심에서 컴퓨터 등 장애업무방해 혐의로 징역 2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김 지사는 이에 불복해 지난 2월 항소했다. 김 지사의 항소심은 오는 11월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차기 대선은 이낙연 민주당 대표와 이재명 경기지사 양강체제다. 김 지사는 두 사람에 비해 대중의 관심 밖에 벗어나 있었다. 다만 이 전 대표가 그를 차기 대권 후보군으로 거론한 만큼 만약 드루킹 재판이 무죄로 끝난다면 김 지사가 향후 ‘제2의 노무현’이 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실제 16대 대선에 노무현 전 대통령은 초창기 차기 대권 주자와는 거리가 멀었지만 경선에서 유력 후보군들을 연이어 꺾고 대통령까지 올랐다.


여권은 두 차례에 있었던 긴급재난지원금 국면에서 김 지사의 발언이 실제로 정책으로 이뤄진 것에도 주목하고 있다. 김 지사는 1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앞장서서 보편적 지급을 주장했다.


반면 김 지사는 지난달 23일 2차 지원금 지급과 관련해서는 ‘선(先)방역, 후(後) 재난지원금 논의’를 강조했다. 같은 날 오후 열린 고위 당정청에선 김 지사의 주장처럼 “방역이 중대 고비”라며 재난지원금 논의를 보류한 바 있다. 한 여권 관계자는 “1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가장 먼저 주장한 게 바로 김경수 지사”라며 “대통령의 복심을 넘어 여권 내 김 지사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17일 경남 차원에서 열린 ‘한국형 뉴딜 스마트 그린 산단’ 행사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기도 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