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2030년까지 온실가스 55% 감축 목표”… 40%서 상향

입력 2020-09-17 16:31 수정 2020-09-17 18:08
우르줄라 폰테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16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의 EU 의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세계 곳곳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대형 산불과 홍수가 잇따르는 가운데 유럽연합(EU)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1990년 대비 55% 수준으로 올려잡았다.

EU 행정부 수반 격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16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의회에서 가진 첫 국정연설에서 “유럽이 국제 문제에 더욱 분명한 입장을 갖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유럽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오는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0% 수준으로 줄이는 것이었다. 코로나19 위기로 경제가 휘청이고 기업들이 탄소배출에 대한 기존의 목표를 따라가는 것조차 버거워하는 상황에서 유럽이 기존보다 혹독한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우리에게 이 목표는 야심차고 달성 가능하며, 유럽에 유익하다”면서 “EU 국가들은 이미 탄소 배출량을 이미 1990년 대비 25% 줄이면서 경제를 60% 이상 성장시켰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날 유럽은 이 목표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전문성, 재정을 확보했다. 지난 7월 유럽의 지도자들은 오는 2021~2027년 사용할 1조8000억 유로(약 2488조원)의 경제회복기금을 조성하는 데 합의했다”면서 “이제 실행하는 것은 우리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유럽의 탄소배출 감소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에게 달려있을 수 있다”면서 ”메르켈 총리가 유럽의 가장 큰 경제권이자 가장 큰 오염원을 이끌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독일은 올해 하반기 EU 순회 의장국이자 자동차 산업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독일은 그간 유럽의 ‘녹색 산업혁명’을 이끌겠다고 공언해왔으며 메르켈 총리는 탄소배출량 목표 강화를 원칙적으로 지지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메르켈 총리는 자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이 규제를 어떻게 피할 수 있는지 끊임없이 모색해왔기도 하다.

수잔 드레게 독일 국제안보연구소(SWP) 수석연구원은 “독일은 프랑스와 함께 기후변화 이슈를 주도하고 싶어할 것”이라면서 “그럼에도 독일의 의장국 임기가 끝난 후 코로나19 위기와 그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로 인해 기업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고 말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