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예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환경부와 기상청, 한국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이 머리를 맞댔다. 환경부는 17일 오전 서울 광화문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기상예보 유관기관 협업 강화방안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을 비롯해 김종석 기상청장, 유명수 한강홍수통제소장(직무대리),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이 참석한 이번 회의는 기후변화로 인해 기상예측이 갈수록 어려워는 상황에서 유관기관들이 기후위기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기관별 역할분담을 강화하고 인력교류·소통 증진, 기상 관측자료 공유 확대 등이 주요 협업 방안으로 제시됐다.
기상청은 홍수 대응 강화를 위해 유역별 맞춤형 예보자료 생산·제공을 확대한다. 홍수통제소와 수자원공사는 홍수 예·특보, 댐 방류량·시기 결정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홍수기(6~9월) 기간에는 기상·홍수예보 전문가 합동 근무를 하고, 기상청이 주관해 홍수통제소와 수자원공사의 예보 관련 업무담당자 교육을 추진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이날 회의결과 후속 조치로 향후 기관 정책협의회를 구성·운영한다고 소개했다. 정책협의회는 국장급으로 구성된다.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수자원정책국장·한강홍수통제소장, 기상청 예보국장·기후과학국장,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부문이사 등이 참여한다. 이들은 협업 방안에 대한 구체적 실행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조 장관은 “이미 현실화한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온실가스 감축만큼 기후변화 적응도 중요해졌다”며 “기상예보와 홍수관리를 유기적으로 연계해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