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가 시내버스를 독점운영하는 민간회사에 96억원의 보조금을 준 데 이어 두 차례 추경을 통해 75억원을 추가로 지급키로 해 논란이다.
경주시는 “사측의 적자를 보전하는 조치”라는 입장이지만, 시민들은 “사업주만 배를 불리는 특혜”라며 반발하고 있다.
경주시는 지난 5월 제1회 추경에서 민간 버스업체인 (주)새천년미소에 손실금 보전 명목으로 55억원(도비포함)을 책정했다(국민일보 8월 31일자 보도).
이어 불과 4개월도 되지 않아 또다시 2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16일 경주시에 따르면 지난 14일부터 21일까지 열리는 254회 경주시의회의회 임시회에 제2회 추경예산으로 시내버스 보조금 명목으로 20억원을 추가로 지급해 달라고 상정했다.
올해 당초예산 96억원과 제1회 추경 55억원을 포함하면 171억원에 이른다.
경주시 관계자는 “관내에는 외곽노선 등 비수익 노선이 많고 코로나19로 인한 사측의 적자 보전을 위해 추경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시민들은 해마다 100억원 가까운 보조금을 주는 상황에서 또다시 수십억원의 세금을 추가 지원하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다.
사측의 태도도 문제다. 매년 적자에 허덕이면서도 올해 대표이사 등 임원 3명의 급여를 두 배 가까이 인상했다.
대표이사 연봉은 1억5600만원에서 올해 1억2000만원 인상된 2억7600만원으로 책정했다. 전무이사는 지난해 연봉 6000만원에서 1억2000만원 인상된 1억8000만원, 회사 감사도 연봉 3000만원을 인상했다.
시민 A씨(60)씨는 “회사의 적자를 시민들의 혈세로 보전해주고 있는데 경영진은 자신들의 배만 채우는데 급급한 것 같다”면서 “시내버스 보조금 지급을 좀 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주시의회 경제도시위원회는 지난 15일 추경예산을 심의하면서 시내버스 관련 보조금 10억원을 삭감했다. 보조금 지급은 17일 열리는 예산결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