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9 평양공동선언 2주년을 앞두고 16일 판문점을 찾은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판문점에서 소규모 이산가족 상봉도 제의하게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취임 후 처음으로 판문점을 찾은 이 장관은 현장 기자회견에서 “북측도 평양공동선언과 남북군사합의를 준수하려는 의지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는 분명 유감스러운 일”이라면서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대남군사행동 보류를 지시한 것은 더 이상의 긴장 고조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판단한다”고 했다.
이어 “작년 창린도에서 실시한 해안포 사격훈련이나 지난 5월 GP 총격도 있었지만 북측이 우리측 일부 단체의 전단 살포에 대응해 재설치하려던 확성기를 철거하고 대남전단 준비도 중단하는 등 대체적으로 북측이 군사합의를 준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 장관은 “남북의 갈등이 아직 존재하는 상황에서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접경지역의 평화상태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은 가장 높이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는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위해 남북이 당장 할 수 있는 인도분야와 교류협력 분야의 ‘작은 접근’부터 진척시켜 나가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상황이 완화되면 10월부터라도 판문점 견학과 DMZ 평화의 길을 신속하게 재개할 것이고, 판문점에서 소규모 이산가족 상봉도 제의할 수 있게 되길 희망한다”며 “북측도 남북공동선언의 이행을 위해 화답해 주길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이 장관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는) 북·미가 많이 풀어나가야 하지만 남북이 함께 해법을 찾아야 할 부분도 꽤 많다고 생각한다”며 “보건의료, 방역협력, 기후환경 분야의 인도협력은 한·미 간 소통을 바탕으로 정세와 관계없이 연간 일정 규모 이상으로 지속돼야 남·북·미가 상호 신뢰를 구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조속한 시일 내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포함한 협의 채널이 복원되고 허심탄회한 대화가 재개되길 희망한다”고 당부했다.
판문점 공동취재단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