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아들 서모씨의 군 휴가 연장을 위해 국방부에 민원을 넣었다는 의혹을 부인하는 과정에서 자신은 전화한 사실이 없고 ‘주말 부부’이기 때문에 남편에게도 물어볼 상황이 아니라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국민의힘 곽상도 의원은 “시정잡배처럼 답변해 국민을 우롱했다”고 비판했다.
곽 의원은 15일 페이스북을 통해 “시정잡배를 국회에 불러 질의하지 않는다”면서 “법무장관이 국회에 나와 답변하자면 남편, 아들, 보좌관 등 주변 사람들로부터 진상을 파악하고 나와 국민에게 자초지종을 보고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어 “남편, 아들과 대화할 시간이 없었다며 국민에게 변명만 늘어놓은 것만으로도 이미 장관을 그만둬야 하는 충분한 이유”라며 “게다가 시정잡배처럼 수사 뒤에 숨어야 한다면 장관직을 그만둔 뒤 수사 결과를 보자고 해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곽 의원은 또 “추 장관은 특혜 속에서 살아와 뭐가 특혜인지도 분간하지 못하고 있다”고 일갈했다. 그는 “추 장관이 여당 대표일 때 아들 병역 관련 청탁 등 개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 국민과 달리 건별로 수많은 공무원을 동원했다. 이런 특혜를 수시로, 아무 때고 누리니 특혜인 것을 느끼지도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곽 의원은 “조국, 추미애처럼 수사나 조사를 받으면서 장관직을 수행하다가 그 휘하 검사들의 수사 결과가 나오기를 기다리는 법무부 장관들은 검사들 보기도, 국민 보기도 창피하지 않으냐”고 비판을 가했다.
앞서 추 장관은 전날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아들을 둘러싼 군 특혜 의혹과 관련한 박형수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답하는 과정에서 “저는 (국방부에) 연락한 사실이 없고, 남편에게 (연락했는지) 물어볼 형편이 못 된다”고 말했다.
박 의원이 “추 장관과 남편 중 누가 전화했나, 추 장관이 아니라면 남편분인가”라고 재차 묻자 추 장관은 “통상의 가정 같으면 그렇겠지만 저와 남편은 주말부부다”라고 언급했다.
추 장관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시절 보좌관이 아들의 휴가 연장을 위해 부대에 전화를 걸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전화를 걸라고 시킨 사실이 없다. (전화 여부는) 제가 알지 못한다”고 선을 그었다. 박 의원이 “당시 보좌관에게 물어봤냐”고 질의하자 그는 “확인하고 싶지 않다. 검찰 수사에 개입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라고 즉답을 피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