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까지 투입” 9월 제주는 비상품 감귤 유통 농가와 전쟁중

입력 2020-09-15 15:34 수정 2020-09-15 15:40
제주도 농업기술원 관계자가 도내 한 감귤 농가에서 감귤나무의 착과량과 열매 상태를 조사하고 있다. 농기원과 제주도 감귤관측조사위원회는 매해 여러 차례의 관측조사를 진행하고 11월께 그해 제주 감귤의 최종 생산예상량을 발표한다. 제주도 제공

지난 11일 비상품 감귤을 선과하다 적발된 서귀포시 호근동의 한 선과장. 서귀포시 단속반은 이날 위반 물량 56t에 대해 전량 폐기조치를 명령하고, 해당 농가에 최고 5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하기로 했다. 서귀포시 제공.

과일 수요가 몰리는 추석을 앞두고 제주도가 감귤 불법유통 행위 근절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는 드론까지 투입해 주요 재배지를 중점 단속하고 있다.

제주에서는 10월, 제주 감귤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출하되는 노지 극조생 감귤 수확을 앞두고 비상품 감귤 유통이 빈번히 이뤄진다. 아직 익지 않은 감귤을 화학약품으로 노랗게 강제 착색해 명절 대목인 추석 시장을 노리는 것이다.

이 무렵 불법적으로 유통되는 저품질 감귤은 내달부터 생산되는 제주산 감귤가격에 줄줄이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9월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특별단속반을 구성해 불법 유통행위 차단에 나선다.

지난 11일 서귀포시에서는 덜 익은 극조생 비상품 감귤을 강제 착색해 유통하려던 선과장이 시민의 제보를 받고 출동한 감귤유통지도 단속반에 적발됐다.

해당 선과장은 행정기관에 신고되지 않은 불법 선과장으로 단속된 물량은 56t에 이르렀다. 지난해 서귀포시 비상품 감귤 유통 총적발량(45t)을 월등히 넘어서는 물량으로 올해 제주지역 첫 적발 사례다.

서귀포시는 전량 폐기조치하고, 최고액인 5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착색 과정을 거친 감귤은 언뜻 제때 수확한 듯 보이지만 조기 수확한 탓에 크기가 작고 당도는 떨어진다. 또, 부패가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감귤 가격과 경쟁력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제주도는 이같은 저품질 감귤 유통을 제주 농업의 근간을 흔드는 비양심 행위로 보고 비상품 유통 과태료를 기존 최고 5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상향하는 조례 개정안을 제출하는 등 단속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서귀포시 남원읍 등 주요 재배지를 중심으로 드론을 투입해 감시망을 확대하는 한편, 감귤 수확 시까지 비상품 감귤 따내기, 물 관리 등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농가 기술지원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한편 제주 감귤의 상품 규격은 지름 49~71㎜, 당도는 출하시기별 최소 8브릭스 이상이다.

지난해 제주에서는 185건 63t의 비상품 감귤이 유통 과정에서 적발됐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