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이 함께 잘 사는 방법을 찾는 논의가 곳곳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지방소멸 위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 위기까지 겹치면서 뭉치지 않으면 버틸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15일 대구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을 위한 민간 주도의 기구인 공론화위원회가 오는 21일 출범할 예정이다. 공론화위는 학계, 시민단체, 언론계 인사 등으로 구성되는데 대구와 경북에서 각각 15명씩 참여할 예정이다. 공론화위는 통합에 따른 각종 명칭 변경, 절차 등을 논의하게 된다. 공론화위 이외에도 시·도민 공감대 확산을 위한 범시도민추진위원회 구성이 논의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구와 경북이 따로 나아가서는 희망이 없기 때문에 광역경제권으로 묶어 도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권영진 대구시장 역시 “대한민국의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서는 광역경제권으로의 통합이 시대적 추세이고 소명이다”고 강조했다.
답보상태였던 대구 취수원 문제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가고 있다. 지난주 환경부와 대구·경북·구미 단체장들이 모여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이용 다변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그동안 구미공단 상류로 취수원을 옮기기 원했던 대구와 이를 반대하는 구미의 갈등 때문에 취수원 이전 문제는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지난주 간담회에서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것만으로도 벌써부터 물 문제 해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당시 단체장들이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한다는데 뜻을 모았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실무회의 등 추가적인 논의도 있을 예정이다. 구미는 시민들의 입장이 가장 중요하다는 단서를 달았다. 대구시와 경북도 등이 반대하는 구미시민들을 어떻게 설득하는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경북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 추진도 속도를 내고 있다. 군위군의 대구 편입은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입지 선정 과정에서 군위의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인센티브 중 하나였고 군위·의성 공동부지에 군위가 합의하면서 추진되게 됐다.
경북도는 최근 1차 실무회의를 열어 이 문제를 논의했으며 별도의 연구용역 진행 등의 안이 나왔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의회 의견을 수렴한 뒤 행정안전부에 편입안 승인을 건의할 방침이다. 군위의 대구 편입을 반대하는 일부 군민들을 설득하는 것도 대구시와 경북도의 과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