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충북본부 폐지를 반대하는 이유는

입력 2020-09-15 11:32 수정 2020-09-15 14:01
코레일 충북본부가 있는 제천역 앞에 제천 지역 시민단체가 내건 기구 통폐합 반대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해 충북본부를 대전충남본부로 통폐합하는 내용의 조직개편을 추진하자 구조 대상 지역의 주민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15일 충북도 등에 따르면 코레일은 충북본부와 대전충남본부를 대전충청본부로 통폐합하는 구조개혁을 오는 21일 단행할 방침이다. 코레일의 12개 지역본부를 8개 지역본부로 축소하는 게 이번 구조개혁의 뼈대다. 수도권동부, 충북, 광주, 대구 등 4개 지역본부는 각각 서울·대전충남·전남·경북본부로 통합한다.

이에 충북도와 제천시, 충북시장·군수협의회, 지역 정치권, 시민단체 등이 연일 충북본부를 대전·충남본부로 통폐합하려는 계획을 전면 백지화해 줄 것을 코레일 측에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다.
충북 제천여성단체협의회는 충북본부를 대전충청본부로 통폐합하는 코레일 조직개편 저지를 위한 시민 서명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은 지역 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시대에 역행한다는 입장이다. 제천과 대전·충남은 별개의 생활권이라 통합 시도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얘기다.

이시종 지사는 최근 입장문을 통해 코레일 조직개편에 따른 충북본부 폐지 예고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지사는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광주·전남본부는 광주에서 순천으로, 대구·경북본부는 대구에서 영주로 통합한다면서 유독 충북만은 거꾸로 대전·충남으로 통합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국가 균형발전에 역행하는 것이자 지역 간 역차별에 해당한다”고 꼬집었다.

이상천 제천시장 역시 “제천은 1941년 중앙선을 개통하면서 영동·태백·충북선 등 7개 노선이 지나는 철도의 요충지로 철마와 삶을 같이 한 철도 역사의 상징”이라면서 “코레일이 제천 시민의 자긍심을 짓밟고 있다”고 규탄했다.

충북도의회도 “오는 12월 중앙선 복선전철이 개통하면 서울과 50분대 접근이 가능해진다”며 “이는 수도권 관광객 증가로 이어져 코레일 경영 수지 개선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지역 시민단체 제천발전위원회는 지난 4일부터 제천역 광장과 코레일 대전본사 등에서 충북본부 폐지 철회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민주노총 제천·단양지부는 “제천·단양 지역의 의견을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충북본부를 대전충남본부로 통폐합하는 것은 지역균형발전과 지방분권화 정책에 찬물을 끼얹는 처사”라면서 “일방적이고 졸속적인 조직개편을 예정대로 진행하면 가능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통해 강력한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재 충북본부가 있는 제천은 영동·태백·‧충북선 및 중부내륙순환열차 등 7개 노선이 교차하고 충북선이 국가철도화물 수송의 30%를 차지하는 등 대한민국 철도교통의 요충지이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