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아들의 특혜 휴가 의혹을 제기한 당직사병을 두고 “제보자인 사병이 일방적으로 오해를 하거나 억측을 하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추 장관은 14일 국회에서 열린 정치 분야 대정부 질문에 참석해 아들의 군 복무 당시 휴가 의혹에 대해 답했다. 그는 그간 의혹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 “상식적이지 않은 의혹이기 때문에 뭔가 말할 필요를 못 느꼈던 것”이라며 “군에서 (아들을) 빼내면 모르겠지만 군에 보낸 엄마 입장에서 편법을 동원하겠느냐”고 말했다.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심경을 밝힌 데 대해서는 “야당 측으로부터 고발이 된 사안이고 저는 지휘·감독하는 책임자이기 때문에 사건에 대해 말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그런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의혹 부풀리기가 있었고, 이미 검찰에서 수사하고 있는 사안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으나 국민께서 불편을 느끼는 점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해 불가피하게 글로써 제 심경을 밝히게 됐다”고 언급했다.
아들의 부대 배치나 통역병 청탁 의혹에 대해서도 부인했다. 추 장관은 “자대배치 청탁 자체는 아들에게 들어보니 난수 추첨으로 현장에서 이뤄지고 랜덤으로 현장에 있는 군인과 부모 4명이 그 자리에서 결정해 알리기 때문에 전혀 그런 청탁이 개입될 소지가 없다”며 “90세인 시어머님이 훈련 마친 손주 보고 싶어서 가신 자리다. 그런 분을 상대로 40분간 직접 청탁하지 말라고 훈계했다는 이야기는 반인륜적이고 있을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훈련소 가기 전, 입대 몇 달 전에도 의사는 반드시 수술해야 한다고 우려했는데 그 상황에서 특혜를 바랐다면 그 당시 조치를 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아들도 엄마가 공인이니까 오히려 오해를 사기 싫다고 반드시 군에는 다녀와야겠다고 어릴 때부터 작정하고 있었다. (휴가 사용과 연장은) 지극히 아픈 사유로 진단서를 발급받아 의사의 권고 아래 진행된 일”이라고 설명했다.
추 장관은 또 “입대 당일엔 탄핵 국면에서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에서 탄핵 추진을 공식화한 날이다. 아이가 훈련을 마친 날도 8주간 훈련 마치면 부모가 가게 되는데 가지 못했다”며 “당시에는 여당 대표가 아니라 야당 대표였다. 아들 군 문제로 군 관계자와 상의할 일도 없었고 더더군다나 청탁 같은 일을 할 이유가 없던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