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법무무 장관 아들 관련 의혹 폭로자인 당직사병을 저격하는 글을 썼던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거세지는 논란에 결국 사과했다. “아들 문제로 걱정을 끼쳐 국민께 송구하다”는 추 장관의 사과문이 나온 지 2시간여 만이다.
황 의원은 13일 페이스북에 글을 쓰고 “현 병장 관련 페북 글로 본의 아니게 불편함을 드려서 죄송하다”며 말문을 열었다. 그는 가장 먼저 당직사병 실명을 공개한 데 대해 “이미 언론에 현 병장 얼굴과 이름까지 공개된 상황이라 크게 의미를 두지 않고 거론했다”며 “그럼에도 현 병장도 모르고 한 일일 수도 있어 수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단독범’이라는 표현을 두고는 “범죄자를 의미하는 ‘범’이라는 표현을 한 이유는 국민의 힘에서 현 병장 제보로 추 장관을 고발한 것이 시작”이라며 “현 병장 이야기대로라면 당직사병이라 휴가의 구두승인 사실을 몰랐었을 수도 있다고 보지만 카투사 내에서도 일년에 상당수의 전화 구두승인을 통해 휴가연장을 해왔기 때문에 그런 경우인가 할만도 하다. 그러나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특혜성 주장을 다양한 언론매체를 통해 해왔기 때문에 의도된 세력이 배후에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현 병장 제보로 사안이 너무나 커졌다. 단독이 아니라는 것이 포인트다. 현 병장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 것은 아니다. 결코 현 병장 개인을 법적 의미의 범죄자 취급을 한 것은 아니다”라며 “행위에 대한 결과적 큰 오류와 국민을 분열시키고 검찰개혁을 방해하고 코로나와 경제위기의 어려운 상황에 국정감사를 무력화시키려는 배후세력에 대한 견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의도와 달리 현 병장을 범죄자 취급한 것처럼 비쳐진 부적절성에 대해 국민과 현 병장에게 불편함을 드린 점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하루빨리 모든 진실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지고 현 병장 포함 모두가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고 썼다.
앞서 황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추 장관 아들 관련 모든 시작은 당시 당직사병의 증언이었다. 산에서 놀던 철부지의 불장난으로 온 산을 태워 먹었다”며 “당직사병의 언행을 보면 도저히 단독범이라고 볼 수 없다. 이 과정에서 개입한 공범 세력을 철저히 규명해야 할 것”이라는 글을 올렸다.
이내 야당을 중심으로 비난 여론이 등장했고 당 내부에서도 부적절한 글이었음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그러자 황 의원은 글 속에 그대로 노출됐던 당직사병의 이름을 ‘현 병장’이라고 수정했다. 또 ‘단독범’ ‘공범 세력’이라는 표현도 ‘단순 제보’ ‘정치 공작세력’으로 수정했다. 이후 일부 네티즌과 댓글을 주고받는 과정에서는 당직사병의 이름과 얼굴이 드러난 TV조선 인터뷰 장면을 첨부하고 “실명 공개는 제가 안 했고 허위사실로 추 장관을 공격할 때 TV 조선이 했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 황희 의원 페이스북 글 전문
현병장 관련 제가 페북에 올린 글로 본의 아니게 불편함을 드려서 죄송합니다.
가장 언급이 많이 되는 부분이 ‘실명공개’ 부분과 ‘단독범 표현’입니다.
두 부분에 대해서는 페북에 글을 올리고, 여러분들의 지적과 비판을 수용하여 곧바로 각각 ‘현병장’과 ‘책임’으로 표현을 수정하였었습니다.
실명공개는 사실 이미 언론에 현병장의 얼굴과 이름까지 공개된 상황이라, 크게 의미 두지 않고 거론한 것도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현병장도 모르고 한 일일 수도 있어 수정을 하였습니다.
단독범에서 범죄자를 의미하는 ‘범’이라 표현한 이유는, 국민의 힘에서 현병장 제보로 추장관을 고발한 것이 시작입니다.
현병장 이야기대로라면 당직사병이라 휴가의 구두승인 사실을 몰랐었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카투사 내에서도 일년에 상당수의 전화 구두승인을 통해 휴가연장을 해왔기 때문에 그러면 그런 경우인가 할만도 한데,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특혜성 주장을 다양한 언론매체를 통해 해왔기 때문에, 뭔가 의도된 세력이 배후에 있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현병장 제보로 사안이 너무나 커졌습니다. 단독이 아니라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현병장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 것은 아닙니다. 이것을 정쟁화를 목적으로 의도된 배후세력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결코 현병장 개인을 법적의미의 범죄자 취급을 한 것은 아니고, 행위에 대한 결과적 큰 오류와 국민을 분열시키고, 검찰개혁을 방해하고, 코로나와 경제위기의 어려운 상황에 국정감사를 무력화시키려는 배후세력에 대한 견해임을 밝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의 의도와 달리 현병장을 범죄자 취급한 것처럼 비쳐진 부적절성에 대해 국민여러분과 현병장에게 불편함을 드린 점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아울러, 하루빨리 모든 진실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지고, 현병장 포함하여 모두가 일상으로 복귀하고, 코로나 극복, 경제위기 극복, 검찰개혁이 흔들림 없이 추진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