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협, 마라톤 회의 끝 “동맹휴학 계속” 결론

입력 2020-09-11 10:37
지난달 20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병원 본관 앞에서 서울대 의대 3학년생이 전공의 파업 지지 등의 내용이 담긴 피켓을 들고 1인시위를 벌이고 있다.

정부 의료정책에 반대해온 의대생들이 장시간 회의 끝에 동맹휴학을 지속하겠다는 뜻을 모은 것으로 파악됐다. 의사 국가시험 거부 집단행동을 철회할 것인지의 여부는 추가 논의를 거쳐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11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10일 오전부터 내부 논의와 표결 등을 진행하고 동맹휴학 방침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각 의대 대표자 40명 중 과반이 동맹휴학 지속에 표를 던졌다고 전해졌다. 이들은 설문조사를 통해 각자 학교의 입장을 파악하고 표를 행사했다. 국시 거부 관련 입장은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협은 집단행동 지속 여부를 놓고 지난 10일 오전 10시부터 논의에 돌입했으나 쉽게 결론을 내리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이에 의료계 일각에서는 ‘강경한 기존 입장에서 선회했다는 신호’라는 해석도 나왔다.

하지만 본과 1~3학년이 동맹휴학을 일단 유지키로 한 만큼 국시를 거부한다던 본과 4학년들의 기존 입장이 뒤집힐 확률은 높지 않을 전망이다. 의대협은 지난 7일 전국 의대생 1만58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었다. 이때 81.22%가 ‘개인의 책임을 인지했으며, 단체 행동을 유지하는 것에 동의한다’는 설문 문항에 찬성했다.

의대생들이 집단행동을 철회해도 국시 추가 시행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리얼미터가 지난 8일 전국의 성인 5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구제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과반이었다. 정부는 국시 추가 시행의 조건으로 의대생들의 응시 의사와 함께 ‘국민적 양해’를 꼽고 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지난 10일 정례브리핑에서 “추가적인 기회 부여는 형평성과 공정성 측면의 논란이 있기 때문에 국민적 양해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