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승객’ 잃은 여객기, ‘화물’ 태워 날았다

입력 2020-09-10 16:15
뉴시스

대한항공이 여객기 좌석을 떼고 화물 전용기로 개조한 항공기를 처음으로 하늘로 띄웠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후 일부 외국 항공사들이 여객기를 개조해 화물을 수송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대한항공이 처음이다.

10일 대한항공에 따르면 여객기를 개조한 화물 전용 항공기 KE9037편은 지난 8일 밤 10시 인천공항을 출발해 현지시간으로 같은 날 밤 10시 미국 콜럼버스 리켄베커 공항에 도착했다.

콜럼버스는 미국 내 의류기업과 유통기업의 물류센터가 집중된 새 화물 거점으로, 여러 글로벌 항공사가 항공화물 수요 확보를 위해 각축을 벌이는 곳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은 향후 동남아시아 화물 노선망 등과 연계해 자동차 부품, 전자 부품, 의류 등의 화물 수요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뉴시스

대한항공은 코로나19에 여객 수송이 크게 줄어든 데 따라 여객기 2대를 화물 수송이 가능한 항공기로 개조했다.

이를 위해 지난달 20일 국토교통부에 여객기 좌석을 떼서 객실 바닥에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하는 개조작업 승인을 신청했고 국토부는 제작사인 보잉의 사전 기술 검토와 항공안전감독관의 적합성·안전성 검사를 거쳐 지난 1일 개조작업을 승인했다.

뉴시스

보잉777-300ER 여객기는 기존 항공기 하단의 화물 적재 공간에 약 22t의 화물을 실을 수 있다. 여기에 항공기 상단의 객실 좌석(프레스티지 42석, 이코노미 227석)을 제거해 약 10.8t의 화물을 추가로 실을 수 있게 됐다는 것이 대한항공의 설명이다.

여객기에 화물을 싣기 위해 복잡한 기내 전기배선을 제거하고, 화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바닥에는 잠금장치도 설치했다.

뉴시스

대한항공은 지난 4월부터 현재까지 승객 없이 화물만 수송한 여객기 운항 횟수가 월평균 420회, 월평균 수송량은 1만2000여t에 달한다고 전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고효율 대형 화물 기단의 강점을 활용해 화물 수익 극대화를 꾀한 결과 2분기 세계 유수의 항공사들이 사상 최악의 적자 실적을 발표하는 가운데 1485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둘 수 있었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의 소식을 본 누리꾼들은 ‘회사를 살리기 위해 노력 중인 항공사가 대단하다고 느껴진다’ ‘이가 없으면 잇몸이라더니 항공사 (수하물 개조) 선택 박수를 보냅니다’ ‘항상 설레는 맘으로 탔던 비행기가 코로나19로 인해서 여행할 수 없게 되면서 화물기로 개조되는 뉴스를 보니 가슴이 아프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송다영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