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휴진 의사들 대국민 사과하라” 환자단체의 외침

입력 2020-09-10 10:10 수정 2020-09-10 10:39
지난달 23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병원에서 전공의들이 의대 정원 확대 등에 반발하며 의사 가운을 벗고 있다. 연합뉴스

환자단체가 의사 집단휴진에 대한 대국민 사과와 정부, 국회 차원의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10일 성명을 내고 “의사 집단행동으로 응급·중증환자들의 피해와 불편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에까지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의사단체가 환자 생명을 볼모로 정부와 협상하는 비인도주의적인 행태를 보였다”며 “이번 의사 집단행동으로 환자가 자신의 생명과 치료를 맡기는 의사를 신뢰할 수 없게 됐다”고 비판했다.

환자단체는 “특히 필수의료가 필요한 응급환자들의 곁을 19일이나 떠난 것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이로 인해 상처를 입은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사단체는 사과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다시는 이런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국회와 정부는 강력한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제도적 장치를 만들 것을 요구했다.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이 지난 3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범의료계 4대악 저지투쟁 특별위원회 3차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환자단체는 이어 “지난달 31일부터 운영된 ‘집단휴진 피해 신고 지원센터’를 의사 집단행동이 끝난 지난 9일 바로 해체할 게 아니라 일정 기간 피해를 본 환자들과 유족들의 신고를 계속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접수된 180여건의 사건에 대해서는 정부가 의료적 지원과 법률구조 책임을 다하고, 국회도 입법적 조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