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발생 2년 넘었지만…” 경기도가 라돈침대 나선다

입력 2020-09-10 08:25

경기도가 라돈 발생 침대 사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향을 찾기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라돈침대 사건이 발생하고 2년이 지났지만 소비자 피해조사와 보상절차 진행은 아직도 지지부진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경기도는 오는 14일 경기도청에서 라돈 발생 침대 사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향을 찾기 위한 ‘라돈 발생 침대 건강피해 대책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이번 토론회는 1부 라돈침대 건강피해 발표와 2부 라돈침대 사태 문제점, 해결 방향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현장 참석 인원은 최소화하고 도 소셜방송 Live경기(live.gg.go.kr)를 통해 생중계된다.

경기도와 양이원영 국회의원실,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시민센터, 라돈피해침대자모임이 공동으로 주최한다.

1부에서는 참석자들 간 라돈침대 사태 개요와 현황 점검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방예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원의 ‘암유병율 분포 분석에 따른 건강피해 보고’ 발표가 진행된다. 이어 실제 건강피해를 입은 소비자가 피해에 대해 증언한다.

2부에서는 박동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백도명 서울대학교 환경보건학과 교수의 ‘라돈의 건강 피해’, 진영우 전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장의 ‘라돈침대 사용자 건강 상담 대응’, 황경태 변호사의 ‘피해 실태 및 소송 현황’, 오길영 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 운영위원장의 ‘라돈제품에 의한 건강피해 정책’에 대한 발표가 진행된다.

김지예 도 공정경제과장은 ‘라돈침대 피해에 대한 경기도 대응 방안’을 발표한다.

토론회는 참석자들 간 종합 토론으로 마무리된다.

김지예 도 공정경제과장은 “이번 토론회에서는 문제점 진단과 구체적인 피해 사례 공유, 피해구제와 라돈관리 개선 대책 등 많은 내용이 논의될 예정”이라며 “구제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소비자 피해구제 대책 마련과 문제 해결을 위한 의미있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 7월부터 ‘라돈 발생 침대 사용자 건강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12월까지 라돈침대 사용 경험이 있는 전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건강 실태조사를 실시해 라돈침대 사용과 질병 발병과의 인과 관계를 밝혀낸다는 방침이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