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외교부 “중국에 언론탄압이란 없다… 전형적인 날조”

입력 2020-09-09 20:46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 AP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상대국 언론인의 비자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언론을 탄압하고 있다’는 미국의 지적에 강하게 반발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9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이 수년간 외신 언론의 자유를 탄압해왔다는 주장은 날조”라며 “미국이 지적한 언론탄압 문제는 근본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미국의 행위는 전형적으로 남을 현혹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는 “미국의 중국 언론인 탄압에 맞서 이뤄진 반격 조치 외에 중국 주재 미국 언론 중 어느 곳도 언론의 자유를 침해받은 적이 없다”며 “중미간 언론 영역에서 일어난 갈등의 원인은 미국에서 시작된 것이 명백하다”고 지적했다.

자오 대변인은 이어 “중국은 어쩔 수 없이 정당한 반격을 한 것뿐”이라며 “이에 대해 미국은 분명하게 이해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중국 기자를 인질로 삼아 또다시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며 “미국은 끊임없이 중국 기자의 정상적인 취재 활동에 대해 압박을 가하고 심각한 방해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자오 대변인은 외신의 언론의 자유를 언급하며 “미국의 주장대로 미국 언론인들이 중국의 겁박에 의해 방해를 받고 있다면 현재 이렇게 많은 외신 기자가 중국에 있겠느냐”고 반문하면서 “중국이 언론의 독립적인 보도를 보장하지 않는다면 중국 주재 외신 기자들의 보도가 이렇게 다양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은 언론의 자유와 독립성을 강조하지만 정작 자신은 각국 매체의 미국에 대한 보도에 간섭하고 있다”면서 “이는 명백히 이중잣대이자 패권주의”라고 역설했다.

앞서 미국이 지적한 중국의 외신 언론탄압 문제는 중국이 서방 매체 소속 기자들의 기자증을 갱신해주지 않은 것과 관련이 있다. 중국 외신기자협회에 따르면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N방송, 블룸버그통신 등 최소 4개 매체 소속 중국 주재 기자 5명의 기자증이 갱신되지 않았다.

지난 3일에는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에서 시위를 취재하던 미국 기자가 현지 경찰의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일방적으로 구금당한 후 추방당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중국은 미국의 먼저 자국 취재진을 부당하게 대했기에 벌어진 일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