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개발 9개사 “안정성 입증돼야 승인 신청” 공동선언

입력 2020-09-09 16:27 수정 2020-09-09 16:34
영국 체셔 지역의 아스트라제네카 사옥 전경. AFP 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선도하던 글로벌 제약사들이 공급 시점을 앞당기는 것보다 제품의 안전성을 최우선에 두겠다고 선언했다. 미국 등이 백신 공급 시점을 앞당겨 발표하면서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을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CNBC방송 등은 아스트라제네카, 바이오엔테크,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존슨앤드존슨, 머크, 모더나, 노바백스, 화이자, 사노피 등 9개 제약사가 공동성명을 내고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과 효험이 입증된 뒤에만 당국에 백신 승인을 신청할 것을 서약했다고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9개 제약사는 “항상 백신을 접종받는 사람들의 안전과 웰빙을 우리의 최우선에 둘 것”이라며 “과학적 절차의 완결성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이런 약속이 엄격한 과학적, 규제적 절차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게 도울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코로나19 백신은 이런 절차에 의해 평가받고 궁극적으로 승인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외신들은 “글로벌 제약사들의 이런 선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대선 전까지 백신을 승인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가운데 나왔다”면서 “임상시험의 마지막 단계인 3상 시험에서 적절한 데이터가 나올 때까지 백신 승인을 시도하지 않겠다는 뜻”이라고 풀이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올해 안에 코로나19 백신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11월 이전에 나올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50개주와 5개 대도시에 이르면 다음달 백신을 배포할 준비를 할 것을 지시했다. 러시아도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 V’를 3상 임상시험 전에 승인해 논란이 됐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졸속 개발이 백신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미국, 러시아 등에서 “백신을 신뢰하기 어려워 접종하지 않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공개되면서 접종을 기피하는 분위기가 코로나19 통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