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갑질 논란을 일으킨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9일 “보좌진과 나눈 문자가 보도되었고 비판을 받고 있다. 송구하다. 저의 잘못”이라고 공개 사과했다.
윤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여야 대표연설의 포털 노출 과정의 형평성에 의문을 가졌던 것이다. 제가 의문을 갖고 묻고자 했던 것은 뉴스 편집 알고리즘의 객관성과 공정성이었다”며 “그러나 비록 보좌진과의 대화라 해도 엄밀한 자세와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지 못했다. 질책을 달게 받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윤 의원은 전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 당시 ‘다음’ 포털의 뉴스편집이 공정하지 않다며 ‘카카오 너무하다. 들어오라 하라’는 내용의 문자를 보좌진에 보냈다. 이 내용은 취재진 카메라에 포착됐다. 지난 7일 이낙연 민주당 대표의 연설 관련 기사와 달리 주 원내대표의 기사는 뉴스 메인에 잡힌 것을 두고, 카카오 관계자를 국회로 호출할 것을 지시한 것이다.
윤 의원은 “초선 국회의원으로서 4개월이 지났다. 이번 일을 커다란 교훈으로 삼아 한 마디 말과 한 걸음 행동의 무게를 새기겠다”고 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윤 의원이 사퇴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는 성명서를 통해 “외압 문자에 이어 외압 전화까지, 윤 의원은 국민께 사과하고 의원직을 사퇴하라”고 했다.
특위는 “윤 의원이 카카오 고위임원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압력을 시도했던 사실이 추가로 드러났다”며 “여론조작의 총책인 윤 의원의 직권남용, 강요죄,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 혐의가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고 했다.
특위는 “윤 의원과 민주당의 외압 때문인지, 포털들이 알아서 눈치보는지 모르겠지만, 현재(오후 2시) 다음 메인 화면에는 ‘윤영찬 민주당 의원’의 뉴스통제 기사는 사라지고, 이낙연 대표의 ‘엄중주의’ 기사만 떠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특위는 “민주당은 ‘엄중주의’라는 시늉에 그치지 말고, 포털에 외압을 행사함으로써 여론조작을 시도한 윤 의원을 과방위에서 즉각 배제하고 스스로 국회 윤리위와 검찰에 고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다음 포털은 여론조작의 공범이라는 비난을 면하려면 그동안 윤 의원으로부터 어떤 압력을 받았는지 명백히 밝혀야 한다”며 “윤 의원은 궁색한 변명을 즉각 멈추고 대국민 사과와 의원직 사퇴를 하는 것이 언론계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일 것”이라고 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