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장기 문양 교표, 친일 작곡 교가…제주교육청 일제잔재청산 용역 추진

입력 2020-09-09 15:24
지난해 광복절 서울광장에서 열린 '일제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대회'에서 일본 강제징용 피해자 양금덕(오른쪽) 할머니와 이춘식 할아버지가 발언을 하고 있다.

제주도교육청이 친일인물이 작곡한 교가, 욱일문 도안이 사용된 교표 등 교육현장에 남은 일제 잔재 청산을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반장 주번 조회 종례 등 왜색이 짙은 일상 학교용어에 대해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9일 도교육청은 교육 공동체의 역사의식을 고취하고 민주적 미래 100년의 학교 문화를 정립하기 위해 교육현장 일제강점기 식민잔재 청산 연구용역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용역은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지난 5월 13일부터 오는 11월 8일까지 6개월간 진행된다.

지난 4일 제주학생문화원에서 열린 중간보고회에서는 도내 모든 학교에 대한 기초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과업 진행상황을 보고했다.

현재까지 조사된 바에 따르면 제주시내 4개교가 일본 왕실의 국화문장과 일장기 문양을 상징하는 교표를 사용하고 있었다.

교직원 중 친일반민족행위자가 활동중인 학교가 3개교, 친일 작곡가나 작사가가 만든 교가를 사용중인 학교도 3개교로 조사됐다. 반장 구령대 등 일제 잔재 용어를 사용하는 학교는 더 많았다.

제주도 내 역대 교장 중 1980년 이전 재직했던 353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선 A초교 1대 교장과 B고교 2~3대 교장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1차 분류됐다. 용역진은 이들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사람과 동일인인지를 확인해 최종 보고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향후 최종 결과를 바탕으로 컨설팅과 필요 예산을 지원해 해당 학교가 스스로 교육공동체간 협의를 통해 청산 방향과 교육적 활용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용역 최종보고는 기초조사의 사실 연구, 공청회,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11월에 이뤄진다.

이번 용역은 지난해 7월 제정된 제주도교육청 일제강점기 식민잔재 청산에 관한 조례에 근거해 추진되고 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