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가 27만명 넘게 감소하면서 6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8월 8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한 이후 11년 만에 최장 기간 감소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시장 충격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지난달 긴 장마로 폭우 피해까지 겹치면서 고용 상황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수도권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9월 고용 상황은 더 나빠질 것이란 암울한 전망마저 나온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08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7만4000명 줄었다. 지난 3월 19만5000명 감소를 시작으로 4월 47만6000명, 5월 39만2000명, 6월 35만2000명, 7월 27만7000명 등 6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줄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8월에 8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11년 만에 가장 긴 기간이다. 다만 감소폭은 4월 정점을 찍은 뒤 4개월째 줄어드는 모양새다.
‘역대급’ 긴 장마에 고용시장 쪼그라들어
코로나19 여파가 지속하는 가운데 지난달 장마가 오랜 기간 지속되면서 고용시장이 직격타를 맞았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8월 고용동향은 7월과 유사한 모습으로 코로나19 장기화와 긴 장마가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4%로 전년 동월 대비 1.0% 포인트 하락했다. 8월 기준으로 2013년 60.2% 기록한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9%로, 전년 동월 대비 1.1% 포인트 떨어졌다. 8월 기준으로 2013년(64.8%) 이후 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실업자는 86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000명 증가했다. 실업률은 3.1%를 나타내며 1년 전보다 0.1% 포인트 상승했다.
취업자 수 증감을 업종별로 보면 도소매업(-17만6000명), 숙박·음식점업(-16만9000명), 교육서비스업(-8만9000명) 등에서 많이 줄었다. 제조업도 5만명 줄었다. 반면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 취업자 수는 5만5000명 증가했다.
코로나19 타격이 가장 컸던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전년 대비 취업자 감소폭이 7월(22만5000명)보다 줄었다. 반면 도소매업의 감소폭은 7월(12만7000명)보다 증가했다. 정부의 3차 추경 재정일자리 사업 영향으로 공공행정업 등의 취업자 증가폭은 7월(1만1000명)보다 늘었다.
경제활동인구는 2794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만7000명 줄었다. 6개월 연속 감소세다. 비경제활동인구는 같은 기간 53만4000명 늘어난 1686만4000명으로 통계 집계 기준을 변경한 1999년 이후 8월 기준으로는 최대치로 나타났다.
특히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46만2000명으로 8월 기준으로는 2003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최대치였다. 증가폭(29만명)도 지난 5월(32만명) 이후 가장 컸다. 구직단념자도 68만2000명으로 13만9000명 늘며 8월 기준으로 2014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영향은 9월 통계에…악화 가능성
문제는 고용 상황이 9월에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점이다. 8월 통계에는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강화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은 지난달 16일부터였는데 통계 조사 기간은 9∼15일이어서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광복절 집회 이후 코로나19가 확산한 데 따른 고용시장 영향은 다음 달 통계에 반영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페이스북에 “다음 달 발표될 9월 고용동향에는 전국적으로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이 상당 부분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적었다. 그는 이어 “자영업자, 임시일용직, 청년층 등의 어려운 고용 여건이 지속되는 가운데 발생한 추가 충격의 여파를 생각하면 벌써 마음이 무겁다”며 “시장 일자리 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고용유지지원금 확충,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지원, 부족한 일자리를 메우기 위한 57만5000개 직접일자리 사업 시행 등 이미 발표된 고용안전망 강화 조치를 차질 없이 이행하고 보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