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맞춤형 코로나19 방역시스템 본격 가동

입력 2020-09-08 11:32 수정 2020-09-08 18:11

광주시가 5개 자치구 중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지역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북구를 ‘방역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해 인력·예산을 집중 투입한다. 소규모 집단감염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고 확진자 데이터·통계를 집중 분석하는 ‘광주 맞춤형 방역시스템’을 본격 가동하는 것이다.

광주시는 “현재 누적 확진자 442명 가운데 해외 유입 58명을 제외한 지역 감염자 384명의 55.5%인 213명이 북구 주민으로 파악됐다”고 8일 밝혔다.

북구가 광주 전체 인구 29.8%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확진자 발생비율이 두드러지게 높은 셈이다. 타 자치구 확진자는 서구 61명, 광산구 46명남구 37명, 동구 33명에 머물고 있다.

실제 북구에서는 지난달부터 성림침례교회, 광주 사랑교회, 일곡중앙교회, 동광주탁구클럽, 배드민턴동호회, 전통시장 국밥집, 기원 등을 매개로 한 소규모 집단감염이 뚜렷하다.

이에 따라 시와 방역당국은 최근 모집한 긴급 의료지원단을 북구에 우선 투입하고 추가 방역예산도 즉각 지원하는 등 북구를 특별관리하기로 했다.

국밥집 등 집단감염의 진원지로 추정되는 말바우 시장에 대한 방역·감시 활동도 한층 강화한다.

시와 방역당국은 또 지난 2월부터 7개월간 방역·확진자 대응 과정에서 수집한 데이터와 관련 통계를 분석해 광주 실정에 맞는 새로운 방역정책을 만들고 적용하기로 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에도 시민 이동량이 오히려 늘고 지역 감염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지역의 경우 지난 7월2일부터 8월2일까지 한달여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기간동안 휴대전화 이동거리 기준 시민 이동량이 대폭 줄었다.

하지만 8월에는 1단계(8월3일~8월22일)로 낮췄다가 2단계(8월23일~8월26일)로 격상한 첫날인 지난달 23일만 12% 줄었을뿐 이틀째인 24일에는 오히려 1.7% 늘었다. 2.5단계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작된 지난달 27일에도 전날보다 시민 이동량이 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지난달 27일 이후 7일까지 12일간 해외유입을 제외한 지역 감염자는 106명으로 전체 384명의 27.6%에 달한다.

시는 3단계에 준하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함께 행정명령까지 발동했으나 지역 감염자가 줄지 않고 있는 점을 중시하고 있다. 상향곡선을 그리는 코로나19 확산 추세가 엄중하다고 판단하고 북구 방역 중점관리지역 지정 등 광주 맞춤형 방역시스템 가동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지침에 따른 고위험 시설 위주 방역체계를 과학적 실증적 분석을 통해 지정한 별도의 중점관리시설 위주로 전환해 집중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시는 지역 확진자가 계속 증가할 경우 오는 9일 민관합동대책위 회의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전국 광역단체 중 최초로 3단계로 상향하는 등 강도 높은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이용섭 시장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광주공동체 안전을 지키는 차원에서 북구에 방역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시민들께서는 외출시 마스크착용과 밀접접촉 금지, 외출·모임자제, 기침 예절 지키기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강조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