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아들 의혹에 대한 검사 수사를 보고받지 않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자신이 검찰총장으로 착각한 듯”이라며 비꼬았다. 진 전 교수는 “어차피 법무부 장관은 개별사건에 대해 보고받지 못하게 규정돼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진 전 교수는 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추 장관이 아들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 보고를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기사를 공유한 뒤 이같이 비난했다. 진 전 교수는 “애초 자기 권한에도 없는 일을 안 하겠다는 건 또 무슨 소린지”라며 “무개념이 이분의 매력이다. 그러는 사이 사건은 1라운드 휴가연장 청탁, 2라운드 올림픽 통역관 파견 청탁, 3라운드 부대 배치 청탁으로까지 비화한 상태”라고 했다. 진 전 교수는 이어 “이분도 결국 조국의 뒤를 따라가지 않겠냐”고 비아냥댔다.
현행 검찰청법 8조엔 ‘법무부 장관은 구체적 사건에 대해 검찰총장만을 지휘·감독한다’고 규정돼 있다. 앞서 법무부는 이날 오후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추 장관의 입장을 밝혔다.
문자메시지엔 “장관은 최근 논란이 되는 사건에 관해 검찰에서 신속하고 철저히 수사해 실체관계를 규명해 줄 것을 국회 답변 등을 통해 수차례 표명했다”며 “장관은 그동안 사건과 관련해 일체의 보고를 받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보고받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추 장관 아들에 대한 수사는 서울동부지검에서 진행 중이다. 지난 1월 야당이 추 장관과 아들을 고발했는데 8개월째 수사에 별다른 진척이 없었다. 최근엔 수사팀이 추 장관 보좌관의 전화 관련 진술을 조서에서 삭제했다는 의혹도 불거져 수사의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