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n번방 등 제작·유포·소지자 2000명 덜미 잡았다

입력 2020-09-07 15:19
국민일보 DB

텔레그램에서 아동 성착취물을 유포한 ‘n번방’, ‘박사방’ 사건 등과 관련해 디지털 성범죄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약 2000명을 검거했다.

김창룡 경찰청장은 7일 오전 서면으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상반기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던 n번방과 박사방 사건의 운영자 등 주범과 공범을 대부분 검거하고 소지자에 대한 수사도 확대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찰청에 따르면 디지털 성범죄 특별수사본부는 지난 3일 기준 디지털 성범죄 1549건을 적발하고 1993명을 검거했다. 경찰은 검거한 이들 중 185명을 구속했으며 1052명은 기소의견을 달아 송치하는 등 종결했고, 나머지 941명에 대해선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검거된 인원 중 아동·청소년을 범행 대상으로 삼거나 협박 또는 강요로 성착취물을 제작한 이들, 성착취물 유포 대화방 등을 운영한 이들은 291명이었다. 유포자는 306명, 단순 소지자가 947명에 달했다.

이 밖에도 성착취물을 제외한 ‘딥페이크’ 같은 불법촬영물 등 기타 디지털성범죄물과 관련해서는 제작·운영자 65명이 검거됐고 유포자 340명이 덜미를 잡혔다.

경찰은 n번방 운영자 문형욱(24)과 박사방 운영자 조주빈(24)을 비롯해 주요 사건의 주범과 공범을 대부분 검거했다고 판단, 하반기부터는 단순 소지자에 대해서도 전방위적인 수사를 벌여 디지털 성범죄의 수요를 원천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김 청장은 “불법 촬영물 소지죄 등 관련 법규 신설 및 강화와 소지자에 대한 전방위적인 수사를 통해 디지털 성범죄의 수요를 원천 차단하고자 하다”며 “n번방의 경우 문형욱이 성착취물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했던 해외 클라우드 업체와 국제공조를 통해 소지자 정보를 확보해 전국 경찰관서에서 수사 중이며, 성착취물 소지자가 다수 발생한 다른 사건들에 대해서도 소지자 등 명단을 확보해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 청장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보호를 위해 피해자 전담 경찰관(여경) 사전 지정 제도를 중심으로 신고 접수 시부터 사후 연계까지 지원 체계를 마련했다”며 “현장 인식 개선 교육을 통해 2차 피해 방지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혜수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