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에 반대해 무기한 집단휴진을 이어왔던 전공의들이 7일 오전 7시부터 업무에 복귀하기로 했다. 집단휴진을 이어온 지 17일 만이다. 하지만 강경파들은 파업 중단에 반대하고 있어 의료 현장이 완전히 정상화되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지난달 21일부터 이어온 집단휴진 등 단체행동을 유보하고 7일 오전 7시부터 진료 업무 현장으로 복귀하겠다고 6일 밝혔다. 전공의·학생들은 현장으로 복귀하되 1인 시위는 이어가기로 했다. 대전협은 향후 정부·여당이 대한의사협회와 합의한 사항을 잘 지키는지 견제·감시해 나가기로 했다.
박지현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SNS 라이브 방송을 통해 “단체 행동을 잠시 유보해도 분노와 참담함을 가슴에 새기고 노력해야 한다”며 “우리의 개혁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의협이 날치기로 (정부·여당과) 합의안에 합의해 의료계의 목소리가 분열되고 있다”며 “거리에서 희미해진 명분을 붙잡아가며 단체 행동을 유지하기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앞서 의협과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4일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의 정책을 원점에서 재논의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대전협 비대위는 “협상 과정에서 배제됐다”며 절차상 문제를 제기했다.
박 위원장은 “차분히 생각했을 때 100% 만족할 수준은 아니지만 지난 한 달간의 단체 행동은 분명히 의미가 있었다”며 “언제든 젊은 의사들을 결집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2주 넘게 이어진 전공의 집단휴진은 일단락되는 모양새지만 현장 복귀가 원만하게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강경파가 집단휴진 중단에 반대하는 등 내부 갈등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의료계 등에 따르면 전공의, 전임의, 의과대학생으로 구성된 젊은의사 비상대책위원회가 전날 회의를 열고 집단휴진 잠정 유보안을 논의하자 일부가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경파는 파업 중단을 전 구성원의 투표로 결정해야 한다고도 요구했다.
일부 의대생도 대전협의 단체행동 유보 결정에 반발했다. 일부는 국가고시 거부 의사를 고수하고 있어 당장 8일부터 순차적으로 치러질 시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이날까지 시험 응시 재신청을 받았다. 복지부는 시험 준비를 위한 시간이 부족하다는 의료계 건의를 고려해 시험 첫 2주인 1~18일 사이에 응시 예정인 재신청자는 11월 이후에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일정을 조정한다고 밝혔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