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여성과 인사 담당자의 업무기회 차별에 대한 인식 괴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직장인 대부분이 회사생활에서 차별을 당하고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사 담당자는 차별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6일 여성 직장인 300명과 인사담당자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여성 직장인의 71%는 ‘회사생활 전반에서 남성보다 불리하다’고 했다고 밝혔다. 반면 기업 인사담당자는 81%가 성에 따른 ‘차별이 없다’고 답해 인식 차이가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승진과 관련해 여성 직장인의 64%는 유리천장이 존재한다고 했다. 45%는 기업에서 여성 관리자 임명을 기피하는 분위기가 있다고 답했다. 성과 평가에서도 여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67%)하고 있으며 업무 기회 측면도 여성이 불리하다(66%)는 의견이 많았다.
여성들은 직장생활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로 ‘출산·육아로 인한 업무 공백 우려’(44%)를 꼽았다. 여성 업무능력에 대한 편견(29%)과 남성 중심 조직문화(10%) 등도 여성을 불리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봤다.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지 묻자 여성 직장인의 36%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고, 복직 후 인사상 불이익도 걱정하고(44%) 있었다.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제도를 적극적으로 운영해 육아 부담을 덜어주고 스마트 워크 추세에 부합하는 평가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사담당자들도 여성 인재 활용을 위해선 종일 돌봄, 방과후 학교 등 사회적 인프라를 확대(38%)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성과평가와 승진기준을 명확히 하거나(22%) 여성에 대한 편견을 해소(18%)하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인식했다.
여성 직장인 입장에서는 여성에 대한 편견 해소(31%)가 가장 시급한 문제였고, 인프라 확대(26%)와 기준 명확화(24%), 일하는 방식 개선(16%)이 뒤를 이었다.
박준 대한상의 기업문화팀장은 “작년 기준 민간기업 여성 관리자 비율은 21%에 그친다”며 “비효율적인 업무 개선과 성과평가 기준 명확화 등을 통해 조직문화를 변화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