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별 자산·기업체 적은 광주·전남…고령인구 급증 추세

입력 2020-09-06 11:36 수정 2020-09-06 11:58

‘고령인구 해마다 늘지만 가난한 광주·전남’.

100대 통계지표로 본 광주·전남지역 현황과 미래상이 제시됐다. 뚜렷한 인구감소 속에 노령층만 해마다 증가하고 가구별 자산과 지역내총생산은 다른 시·도에 비해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호남지방통계청의 ’100대 통계지표로 본 변화상’에 따르면 광주인구는 지난 2015년 150만6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올해는 148만8000명으로 1만8000명 감소했다. 저출산 등으로 광주지역 인구는 오는 2047년 126만명대로 추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중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0명 중 4명(36.6%) 정도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인구는 1970년 65만1000명에서 2000년 138만2000명으로 30년 동안 2배 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2015년 꼭지점을 찍은 광주인구는 2025년 145만2000명, 2030년 141만9000명으로 감소하고 2047년에는 126만3000명으로 내려앉을 것으로 보인다.

1986년 1만534명이던 출생아 수는 2000년 2만1148명으로 증가했으나 2010년 1만3979명으로 줄어든 데 이어 2019년(8364명)에는 1만 명 이하로 뚝 떨어졌다.

광주지역 가구별 자산은 3억4387만원으로 7대 특·광역시 중 가장 적었다. 2018년 기준 1인당 개인 평균소득은 1986만8000원에 머물렀다.

광주지역의 취약한 경제규모는 여전하다. 2018년 기준 지역내총생산(GRDP)은 39조8140억원으로 부산 89조7260억원, 대구 56조 6690억원의 44.3%, 70.2%에 불과했다. 300인 이상 고용 사업체와 종사자도 광주 95개 7만2892명, 부산 235개 15만4318명, 대구 132개 9만7789명으로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인구절벽이 두드러진 전남인구는 1970년 당시 345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1990년 24만명, 2020년 176만명으로 쪼그라든 데 이어 올해는 176만4000명으로 거의 반토막이 됐다. 1970년 4.3%에 머물던 고령인구 비율은 2012년 20.0%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고 2020년 23.1%로 상승했다. 전남지역 고령인구는 향후 30년 후 2명 중 1명 수준인 50%를 육박할 것으로 예측됐다.

출생아 수는 1981년 8만3894명으로 정점을 찍었다가 지난해 1만832명으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가구별 자산 역시 3억196만원으로 9개 도 가운데 전북(2억8877만원), 충남(2억9534만원)에 이어 세 번째로 적었다. 1970년과 비교할 때 68.3%나 줄어든 농가의 가구별 소득 역시 3932만원으로 전국 평균 4218만원보다 낮았다.

호남지방통계청은 통계청 개청 30주년과 광주와 전남·북을 아우른 광역화11주년을 맞아 인구·가구, 고용, 삶의질 등 11개 분야의 과거와 미래 변화상이 담긴 통계지표를 스토리텔링 형식의 기획자료를 곁들여 발표했다.

호남지방통계청 관계자는 “고령화가 뚜렷한 광주전남 인구는 향후 20년 후 300만명선이 붕괴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구별 자산 등 경제분야 취약성도 여전해 지역간 균형개발이 더 강화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