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전임의·의과대학생 등이 업무 복귀와 의사 국가고시 응시 여부 등에 관한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오는 7일 오전 7시부터 업무에 복귀할 것으로 보이지만 전공의들은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며 신중한 입장이다.
6일 의료계에 따르면 젊은의사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날 전공의·전임의·의대생 등과 회의를 열고 업무 복귀 여부와 향후 단체행동 등을 논의했으나 뚜렷한 결론을 내지는 못했다. 다만 단체행동을 이끄는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에서 그 수위를 조절하는 내용이 논의돼 업무 복귀에 대한 기대를 키우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박지현 대전협 비대위원장에 대한 불신임 안건이 상정되기도 했으나 부결됐다.
비대위안에서는 대한의사협회와 정부의 합의에 따라 단체행동을 잠정 유보하되 비상사태를 유지한 뒤 합의사항 이행 여부를 감시하자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이들은 의대생 국시 실기시험 응시자에 대한 대책이 마련될 경우라는 조건을 달고 전공의들이 업무에 복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진다. 그 시점은 7일 오전 7시가 유력하다는 게 의료계 복수 관계자의 말이다.
그러나 업무 복귀를 위해서는 의대생 국시 응시자에 대한 보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전제한 상태다. 때문에 내부 논의를 거쳐 단체행동 수위가 조절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책의 구체적인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4일 대한의사협회와 합의 후 의사 국가고시 재신청 마감 시한을 4일 오후 6시에서 6일 밤 12시로 연장했다.
젊은의사 비대위 측은 애초 오는 7일 회의를 열어 관련 논의를 할 예정이었으나 신속한 결정을 위해 5일로 앞당겼다. 의료 현장에서 환자 불편이 지속하고 있다는 점과 의사 국가고시 재신청이 이날 마감된다는 사정 등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업무개시 명령을 거부한 전공의 전원에 대한 고발을 취하한 것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회의에서는 의협이 이미 여당·정부와 합의한 상황에서 더는 집단 휴진을 지속할 명분이 없으므로 잠정 중지해야 하지 않느냐는 의견과 합의 자체를 받아들일 수 없으므로 단체행동을 이어가야 한다는 의견 등이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확정된 사안이 없으므로 대전협 비대위의 최종 결정에 따라 전공의 복귀, 의대생 국시 응시, 휴학 취소 등이 명확히 결정될 전망이다.
앞서 대전협 비대위는 의협이 복지부와의 합의문에 “진료 현장에 복귀한다”는 문구를 포함한 것과 관련, “단체행동 중단 여부는 자율적이고 주체적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