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의협 최대집 “더이상 집단행동 안돼…진료현장 복귀해야”

입력 2020-09-04 11:33
사진=연합뉴스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4일 “더 이상의 집단행동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집단휴진에 참여한 의사들이 현장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공공의료 확충 정책 관련 협약 서명식을 마친 뒤 “파업을 하면서 의료계가 큰 혼란을 겪었고, 사회적으로도 논란이 됐는데 오늘 정부와 당과 합의가 됐다. 충분히 갈등을 봉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더 이상의 집단행동이 있어서는 안된다”며 “이제는 진료 현장으로 복귀해야한다는 점을 간곡하게 의협 회장으로서 말씀드려서 복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최 회장은 “가장 문제가 되는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 의대 신설 문제가 말 그대로 중단되고 의료계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원점에서 재논의하는 것으로 정리가 됐다”며 “추후 여러 각론적인 부분은 협의체를 통해서 논의하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의료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박차를 가하고, 안정화됐을 때 이번 정책뿐만 아니라 (모든 정책과 관련해) 여당, 정부와의 상시적인 사전 협의 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측이 협약 내용에 대해 반발하는 것에 대해선 “대전협 집행부의 심정을 충분히 존중한다”면서도 “적법한 절차를 거쳤으면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투쟁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강한 저항의 뜻을 보여서 여러 방법으로 우리 뜻을 반영하는 것이 목표”라며 “처음 목표로 했던 정책 철회와 원점 재논의라는 실질적인 내용이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다. 합의를 앞으로 성실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과 대한의사협회는 공공의료 확충 정책과 관련한 입법 방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최종 합의했다.

양측이 서명한 합의문에는 ‘코로나19 안정화까지 의대정원·공공의대 확대 논의 중단 및 협의체 구성해 원점 재논의’ ‘공공보건의료기관 개선 관련 예산 확보’ ‘대한전공의협의회 요구안 바탕 전공의특별법 제·개정 및 근로조건 개선 지원 ’ ‘코로나19 위기 극복 상호 공조 및 의료인·의료기관 지원책 마련’ ‘민주당은 의협·복지부 합의안 이행 노력’ 등이 담겼다.

협상을 주도한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당은 협약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의협과) 정부와의 합의가 있고 나면 바로 고발 조치돼 있는 전공의들에 대해 최선의 처리 방안을 요청하고, 이낙연 대표 말처럼 다치는 사람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