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책에 반발하며 집단 파업에 나섰던 의사들이 정부와 협상 끝에 의료현장으로 복귀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일선 병원의 진료·수술 기능이 곧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공의 복귀 여부가 아직 결정되지 않아 대형병원 내 수술 일정 조정 관련 방침은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일선 대형병원들은 우선 의료인력 복귀 시점 및 수준에 따라 진료 및 수술 일정을 재조정할 예정이다. 삼성서울병원 관계자는 4일 “의사 파업이 진정되는 대로 환자의 위급도나 중한 정도에 따라서 원래 기존에 잡혀 있던 일정 순서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진료·수술 일정이 재공지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앞으로 전공의 파업이 어떻게 진행될지 여부에 따라 공식적으로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신촌세브란스병원 관계자도 “개별 과에서 의료인력 복귀 여부에 따라 밀린 수술 일정을 탄력적으로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며 “기존에도 환자 진료와 응급수술은 가능한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다른 대형 병원에서도 전공의 복귀하는대로 진료 및 수술 업무 조정을 할 예정이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파업한 인력이 복귀하는 대로 이전 수준으로 수술을 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지만, 아직 전공의 측에서 공식적으로 복귀 입장을 밝히거나 병원에서 공식적으로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전했다. 서울아산병원 관계자도 “아직 공식적으로 전달받은 사항이 없다”며 “인력 복귀 여부를 지켜본 뒤 추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대형병원의 주요 인력인 전공의들의 복귀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대한의사협회와 더불어민주당이 이날 의대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신설 안을 원점 재논의하고 의협이 파업을 중단한다는 합의문에 서명했지만 의료계 내부 입장 정리는 아직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박지현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젊은의사 비대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SNS 계정에 “나 없이 합의문을 진행한다는 건지?”라는 글을 올려 의협과 여당의 합의 사실을 사전에 알지 못했다는 뜻을 비쳤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