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교수들이 공공의대 찬성했다고?…전공의들 발끈

입력 2020-09-03 18:02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반대하는 의료계가 집단휴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3일 오전 서울 서초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본관에서 교수들이 전공의와 전임의들을 지지하는 피켓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공의대 설립,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 정부의 4대 보건의료 정책에 반대하는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박근혜 정권 때는 찬성 입장이었다는 주장을 두고 전공의들이 왜곡이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소속 비상대책위원회는 3일 입장문을 통해 “해당 연구를 진행한 서울대 교수진들은 이번 정부 정책에 대해 나서서 어떤 의견도 표명한 적이 없고, 이들이 당시 서울대 의대 교수들의 의견을 대표한다고 볼 수도 없다”며 “말 바꾸기를 했다는 것은 명백히 부당한 의혹”이라고 밝혔다.

비대위는 “해당 연구에는 공공의료인력 양성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공공의대 신설에 대한 주장이 있었다”며 “2015년 5월 ‘국립보건의료대학 및 국립보건의료대학병원의 설치·운영 법안’이 발의된 시점에 연구 필요성이 대두해 시행된 것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용역을 받아 제출한 것이 아니라 공모 계약을 통해 연구한 것이므로 공모 목적에 맞는 결론이 도출됐을 가능성이 크고, 서울대 교수진들이 정식으로 의견을 낸 문서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앞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서울대 산학협력단이 2015년 보건복지부 용역을 받아 제출한 ‘공공의료인력 양성을 위한 기반 구축 방안’ 보고서를 근거로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정권이 바뀌자 입장을 싹 바꿨다고 주장했다. 당시 보고서는 “공공의사 인력 양성을 위한 의대를 설립해 7년 교육과정으로 2020년 최초 선발인원 100명, 2025년부터 최대 700명 규모로 운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