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료정책에 반대해 오는 7일 3차 전국의사총파업을 예고한 의료계가 단일 합의안을 만들어 정부·국회와의 대화에 나서기로 했다. 의정갈등 해소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지만 의료계는 아직 집단휴진 중단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향후 정부와의 대화 추이에 따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범의료계 4대악 저지투쟁 특별위원회(범투위)는 3일 오후 회의를 열고 내부 단일안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범투위는 정부의 일방적 의료정책 추진을 막겠다며 의대생과 전공의·전임의, 개원의 등 의료계 구성원들이 결성한 단체다.
김대하 대한의사협회(의협) 대변인은 회의 직후 “투쟁에 가장 적극적인 젊은 의사들의 요구안을 범투위에서 받았고, 그 내용을 반영해 만장일치로 의료계 단일안을 도출했다”며 “빠른 시일 내 정부·국회와 대화에 나서겠다”고 설명했다.
핵심적 요구사항은 확정됐지만 아직 세부적인 단일안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서연주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부회장은 “오늘 회의에서 나온 여러 의견을 반영해 수정이 진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반영해 의협이 최종안을 만들면 회람 절차를 거쳐 최대한 빨리 정부·국회와 대화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의료계 파업을 중단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의협은 전날 산하단체에 제3차 전국의사총파업 지침을 내려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의료계 단일안 마련에는 성공했지만 정부와의 합의 추이에 따라 파업을 강행할 가능성도 충분하다. 전공의·전임의 무기한 파업도 변함없이 진행 중이다. 김 대변인은 “바로 집단휴진을 중단하는 건 아니고, 계획에도 변화가 없다”며 “7일 이전까지 최대한 성실하게 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정갈등은 이달 들어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과 의료계 관계자들의 만남 이후 타협 기류로 돌아섰다. 그동안 의료계는 집단휴진을 강행하고, 정부는 전공의들에게 업무개시명령과 형사고발 조치로 맞서면서 첨예하게 대립했다. 젊은의사 비상대책위원회는 3일 오전 입장문을 내고 “진정성을 가지고 양측이 전보다 생산적인 이야기를 나눴다”며 “대화의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면담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필수 인력의 의료현장 투입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다”며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와 함께 재조정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21일부터 2주째 집단휴진 중인 전공의·전임의 중 일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진료 등을 위해 복귀했다. 전날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아산병원에서는 집단휴진 중인 내과 전공의 10여명이 이날 업무현장으로 돌아갔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