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삼성·조국 사건 등 수사팀 인원 대부분 유지한다

입력 2020-09-03 17:01 수정 2020-09-03 17:03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의 모습. 최현규 기자

서울중앙지검이 고검검사(차장·부장검사)급 이하 검사 인사 발령에 따라 부서별 인력을 재배치했다. 검찰은 삼성 부정승계 의혹,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의 입시비리 의혹 사건 등 주요 사건 담당 부서의 인원을 대부분 유지해 공소유지와 수사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중앙지검은 3일 형사·공판부 강화 기조에 따라 2명이던 공판부 부부장검사를 8명으로 늘리고 수사 경험이 풍부한 검사들을 형사부에 다수 배치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주요 현안 사건들의 공소유지에 적극 대응하라는 대검찰청의 의견을 반영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검찰에 따르면 삼성 부정승계 의혹 사건 수사팀에선 이복현 부장검사와 최재훈 부부장검사를 제외한 경제범죄형사부 검사 8명 전원이 특별공판2팀으로 이동했다. 박영수 특검때부터 삼성 수사를 담당해온 김영철 부장검사가 팀장을 맡았다. 이 부장검사는 대전지검 형사3부장으로 전보됐지만 공판 때마다 참여할 예정이다.

조 전 장관 사건의 경우 전출한 검사들을 제외한 6명이 잔류해 공소유지를 맡는다. 검찰 관계자는 “잔류가 필요하다는 (공판팀의) 의견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특별공판1팀에 4명을 두고 나머지 2명은 조 전 장관 사건을 심리하는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와 25부 담당 공판검사로 배치했다.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 사건은 공공수사2부 검사 9명이 수사와 공소유지를 이어간다. 사건 초기 울산지검 공안부에서 근무했던 검사 등 5명이 새로 투입됐다. 김태은 부장검사를 포함해 기존 수사팀 10명 중 6명은 전보되거나 휴직했다. 검찰은 “청 전체 검사가 10여명 이상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공공수사2부 인력은 1명만 줄였다”고 밝혔다.

채널A 기자 강요미수 의혹 사건은 새로 부임한 변필건 형사1부장검사가 수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공소유지는 정진웅 광주지검 차장검사를 포함해 기존 수사팀에서 맡는다. 양승태 대법원의 사법농단 사건 공소유지는 특별공판1팀이 맡게 되며, 단성한 부장검사가 팀장으로 부임했다. 옵티머스 환매 중단 사건을 수사해온 검사 전원은 경제범죄형사부에 배치됐다. 조사1부, 강력부, 형사12부에서 사건을 담당했던 검사가 1명씩 이동했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