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400억원을 들여 정수장에 인공지능(AI) 정수처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유충 등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5중 차단 장치를 구축한다. 전 국민을 불안에 떨게 했던 ‘붉은 수돗물’ ‘수돗물 유충’ 사태의 재발을 막으려는 조치다.
환경부는 3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13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수돗물 위생관리 종합대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신진수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수돗물 유충 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고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수돗물을 생산해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2022년까지 1411억원을 투입해 정수장 내부로 유충 등 생물체가 유입하지 못하도록 관련 시설을 개선한다. 출입문과 창문에 미세방충망을 설치해 생물체가 정수장 건물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고 건물 내 포충기를 설치해 유입된 생물체를 퇴치할 계획이다. 활성탄지 유입을 방지하는 시설도 갖춘다. 또 날파리 등이 유입될 때를 대비해 활성탄 세척주기를 단축하고 활성탄 지하부 집수장치의 여과 기능을 강화해 생물체의 유출을 원천 차단할 방침이다.
낡은 정수장 운영관리 방식도 확 바꾼다. 정수처리 공정별로 AI를 적용하고 원격감시시스템(TMS)으로 정수 상황을 24시간 확인한다. ‘한국형 수도시설 위생관리 인증제’ 도입도 추진한다. 기존에 식품 제조공장에 적용하는 국제표준규격(ISO22000)과 식품안전관리제도(HACCP) 등에서 정수장에 적용 가능한 내용을 참고해 새로운 위생 안전 인증제도를 마련할 예정이다. 또 수돗물 안심 기준에 이물질 항목을 추가하고 수도사업자의 정수장 위생관리 기준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