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하며 우려를 키웠지만 대체로 억제하는데 성과를 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처럼 억제에 성공한 데는 휴대전화 위치 추적부터 시설 출입 확인 QR코드 활용 등까지 광범위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분석됐다.
3일 미국 외교 전문 매체 ‘내셔널 인터레스트(NI)’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홈페이지 블로그에 이튼 킴 리저 에디터가 쓴 ‘한국은 어떻게 코로나19와 싸웠나(그리고 대체로 성공했나)’는 글을 게재했다.
저자는 글에서 “한국은 공공보건과 경제 시스템을 마비시키지 않고 코로나19 전염을 대체로 억제할 수 있었다”면서 “지난주 확진자가 급증하기는 했지만 누적 확진자는 약 2만명, 사망자는 324명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인구 5200만명의 동아시아 국가는 어떻게 성취했을까”라고 자문한 뒤 휴대전화 위치 추적, 신용카드 사용 기록 확인, 자택 격리자 추적 앱, 고위험 시설 출입자의 QR코드 등록 등을 비법으로 꼽았다.
이어 콜로라도 덴버대학교의 최근 연구 논문을 인용해 “국가 차원의 감염병 억제 계획, 민간 부문과의 협력, 엄격한 접촉자 추적, 건강보험 시스템, 정부 주도 소통 같은 결정적 요인들이 성공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그가 한국의 특수한 문화가 이 같은 광범위한 ICT를 활용할 수 있게 했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할 때 한국은 정부 주도 공공보건 조치를 기꺼이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공중보건을 위해 사생활 침해를 수용할 수 있다’는 한국인 비율이 84%에 달한다는 한 설문조사 결과를 소개하기도 했다.
이어 이런 점 때문에 문화적 규범이 다른 미국에서는 한국과 같은 광범위한 방역 조치와 ICT를 활용한 추적 등은 수용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