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가 회의를 열어 정부와의 최종 협상안 마련에 나설 전망이다. 전공의 단체 역시 정부·국회의 최근 움직임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상황에서 평행선을 달려 온 의정갈등 사태가 극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흘러나온다.
대한의사협회는 2일 “내일 오후 ‘범의료계 4대악 저지투쟁 특별위원회’(범투위)를 열 예정”이라고 밝혔다. 범투위에는 무기한 파업 중인 전공의·전임의뿐 아니라 개원의, 의대생 등이 모두 참여한다. 비공개로 진행되는 해당 회의에선 의료계의 대정부 협상안이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출구가 보이지 않던 의정 갈등은 전날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과 의료계 관계자들이 만난 뒤 급격히 새 국면을 맞았다. 한 의장은 의료계에 ‘원점 재검토’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겠다는 의지를 비쳤다고 만남 직후 밝힌 바 있다. 서연주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부회장은 이날 “저희도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싶기 때문에 어떤 부분을 더 조율할지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전공의 상대 고발 취하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다. 서 부회장은 “나머지 6명에 대한 고발도 철회돼야 하겠으나 내부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며 “의료계와의 대화 의지로 이해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전날 업무개시명령 미이행으로 고발했던 전공의·전임의 10명 중 4명의 고발을 철회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달 31일 의료계 원로들을 만난 데 이어 이날 오후 6시30분에는 세종시 총리공관에서 전국 시·도 의사회 회장단과 비공개 만찬을 진행했다.
환자단체 또한 의-정 갈등 해결을 촉구했다. 한국암환자권익 협의회(암환자협의회)는 성명서를 내고 “중중 암환자들은 치료 시기가 무엇보다 중요하건만 의료현장에서 후순위로 밀려나고 있다”며 “누가 의료인에게 암환자의 생명과 치료권을 마음대로 포기할 권리를 줬느냐”고 반문했다.
암환자협의회는 “정부도 사태를 이 지경까지 끌고 온 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조금 일찍 타협안을 제시하거나 협상의 자세를 바꿨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며 “정부와 의료인은 환자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환자 중심의 정책을 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SNS에 “의사들이 떠난 의료현장을 묵묵히 지키는 간호사분들을 위로한다”고 글을 올렸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의사들이 간호사들에게 일을 내팽개쳤다는 의미냐” “분위기가 좀 풀리나 했는데 감정을 건드린다”는 등의 비판이 제기됐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