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댐’ 구축 막 올랐다…정부 “일자리 더 생긴다”

입력 2020-09-02 15:35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이 2일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파이낸스센터 과기정통부 기자실에서 데이터 댐 프로젝트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디지털 뉴딜의 대표과제인 ‘데이터 댐’ 사업이 첫 발을 내디뎠다. 올해 세부 과제를 수행할 기업 선정을 마무리한 정부는 사업 과정에서 당초 예상보다 많은 일자리가 생기고, 인공지능(AI) 활용도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등 데이터 댐 7대 핵심사업을 수행할 주요 기업 등의 선정을 마무리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관계부처와 각 분야 공공기관 등 2103개 수행기관이 데이터 댐 사업의 첫해 지원 대상으로 확정됐다.

디지털 뉴딜은 정부가 2025년까지 AI·클라우드 등 정보통신(IT) 사업에 58조2000억원을 투입해 총 90만3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발표한 정책이다. 데이터 댐은 데이터를 수집한 뒤 이를 가공·활용하는 사업으로, 미국 대공황 시기의 후버댐 건설과 같은 일자리 창출·경기부양 효과와 각 산업 분야의 혁신을 동시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7대 사업은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AI 바우처, AI 데이터 가공바우처 사업, AI 융합 프로젝트(AI+X),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클라우드 이용바우처 사업,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등이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대표 클라우드 기업, 분야별 AI·데이터 솔루션 특화기업 및 SW기업 등 대부분이 참여해 선정됐으며, 의료·제조·유통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기관들이 동참해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고 혁신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사업 초기부터 데이터 활용이 타 분야와 융합을 통해 산업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정부 측은 강조했다. 그 사례로 데이터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을 연계해주는 ‘AI 데이터 바우처 사업’의 수요 기업 중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이 아닌 비율이 지난해 41.2%에서 올해 84.8%로 늘었다.

정부는 데이터 댐 사업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는 당초 전망치보다 4000여명 늘어난 2만8000여명 이상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새로 생기는 일자리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 구축 과정에서 생기는 일자리는 비정규직이거나 단기채용 인력이 될 것”이라며 “고용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한 후속 대책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