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도 부산, 스마트 항만시설물 유지관리 구축 업무협약

입력 2020-09-02 11:33
부산시가 해양수도 부산의 선제적인 스마트 항만시설물 유지관리 체계 확립 및 연구개발 선도도시 근거지 구축에 나선다.

부산시는 2일 한국해양대학교에서 부산항만공사, 한국해양대학교, 동아대학교, 부산테크노파크와 ‘스마트 항만시설물 유지관리 구축 업무협약식’을 가졌다.

이번 협약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스마트 항만시설물 유지관리 데이터 체계 마련해, 장기적으로 모든 항만시설물 유지보수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 기반 마련하는 것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박성훈 시 경제부시장, 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 도덕희 한국해양대 총장, 이해우 동아대학교 총장, 최종열 부산테크노파크 원장 등이 참석해 기관 간 협력을 약속했다.

국내 60개 항만(1086개 시설) 중 30년이 지난 시설은 모두 284개로 27.7% 를 차지한다.

항만 재해가 일어나면 막대한 시설복구 비용이 발생하고 있어, 물류 마비 등 경제적으로 큰 피해로 이어진다.

또 기후변화로 인한 시설의 변형 및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관련 모니터링 기술 확보를 통한 스마트 유지보수 체계구축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지난 5월 ‘항만시설물 유지관리체계 개편방안’을 마련, ‘사후 유지관리’ 체계를 ‘예방적·선제적 유지관리’ 체계로 전환하고, 4차 산업혁명기술을 도입한 스마트 유지관리기술 개발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이에 대응해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에 부합하는 인공지능(AI) 기반의 항만시설물 유지관리 데이터 체계를 마련해 모든 항만시설물 유지보수에 활용토록 하는 ‘선제적인 데이터 활용 기반 구축’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이번 협약을 했다.

시는 이번 협약으로 해당 기관과 함께 스마트 항만유지보수 데이터 기반 구축, ICT 융합 기술개발, 현장 실증 모니터링 기술개발, 관련 센터설립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시는 또 해양거점 대학 및 연구실적, 항만물류 인프라 및 관리기관, 기업 연구개발 지원 등 전국 최고의 사업수행 역량과 여건을 보유, 성공적인 항만시설 유지관리 체계구축의 성과가 확실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변성완 시장 권한대행은 “국내 최대 항만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부산을 거점으로 스마트 항만 유지관리체계 확립,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만 조성을 주도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 생각하고 책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