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선연임 금지→제도정비’…한발 후퇴한 통합당 쇄신안

입력 2020-09-02 00:10
정우택 미래통합당 전국위원회 의장이 1일 제2차 통합당 상임전국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의 당 쇄신 작업이 ‘국회의원 4선 연임 금지’ 조항을 담은 정강·정책 개정안을 놓고 삐걱댔다. 국민 눈높이에 맞춘 정치개혁 과제로 추진됐던 4선 연임 금지 조항이 당내 반발로 인해 정강·정책 개정안에서 삭제된 탓이다. 당 일각에선 4·15 총선 참패 이후 추진됐던 쇄신안이 후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다.

통합당은 1일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된 상임전국위원회에서 정강·정책 개정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개정안에는 ‘국가는 국민 개인이 기본소득을 통해 안정적이고 자유로운 삶을 영위하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다’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배준영 대변인은 “상임전국위에 총원 46명 중 43명이 참여했다”면서 “모든 안건이 80%가 넘는 압도적인 찬성으로 가결됐다”고 말했다.

다만 당 정강·정책 개정안은 초안에 포함돼 있던 4선 연임 금지 조항이 빠진 채로 통과됐다. 온라인 의원총회에서 이 조항에 반대하는 의견이 나왔기 때문이다. 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상임전국위원회에 앞서 이 조항을 수정했다. 4선 연임 금지 조항 대신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정치개혁을 현실화시킬 수 있도록 정치개혁특별기구 설치를 통해 제도를 정비하며’라는 문구가 들어갔다. 김선동 통합당 사무총장은 “좀더 포괄적인 정치개혁 문제를 검토하자는 측면에서 수정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1일 유튜브로 진행된 미래통합당 의원총회에 참석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과 주호영 원내대표. 연합뉴스

이번에 통과된 정강·정책에는 ‘공영방송 등의 사장에 대한 대통령 임면권을 폐지하고, TV수신료의 강제 통합징수도 함께 폐지한다’는 조항도 들어갔다. 초안에 포함돼 있던 기초의회와 광역의회 통폐합 조항은 삭제됐다.

이날 상임전국위에선 ‘국민의힘’으로 통합당 당명을 바꾸기 위한 당헌·당규 개정안도 통과됐다. 통합당 상임전국위원회는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유튜브 생중계와 자동응답(ARS) 투표를 통한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당명과 정강·정책 개정은 2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통해 마무리될 예정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