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설문 56%는 늘렸으면 하는데…의사 90% “확충 반대”

입력 2020-09-01 16:20 수정 2020-09-02 15:43
서울대병원 소속 전공의들이 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앞에서 '공공 의대 설립, 의대 정원 확대, 비대면 진료' 등의 철회를 촉구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 주도로 전공의와 전임의들이 집단휴진에 들어간 가운데 국민 대상 설문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정부가 추진 중인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사의 90% 이상은 여기에 반대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달 11∼25일 국민생각함 홈페이지를 통해 6만9899명에게 ‘의대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설립 등 의사 수 확충’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전체 응답자의 56.5%가 동의했다고 1일 밝혔다.

개원의·전공의·의대생 등 ‘의사 종사자’들은 8.5%만이 정부 정책에 찬성했고, 나머지는 반대했다. 반대의사를 표시한 이들 가운데 41.5%는 ‘문제는 지역 의료 불균형과 특정 분야 의사 수 부족으로, 전체 의사 수는 충분하다’고 했다.

전공의·전임의 등 의료계가 의대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 주요 정책 철회를 촉구하며 집단휴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김태엽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장이 의사들의 진료 거부를 중단하고 의료인력 확충할 것을 촉구하며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사 확충 방안을 놓고는 전체의 54.9%가 ‘지역 내 공공의대 신설’을 가장 많이 꼽았지만, 의사 응답자의 51.2%는 ‘기존 의대 정원 확대’(51.2%)라고 답했다.

지난달 21∼27일 병행 진행된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설문조사(복수 응답)에서는 전체 참여자(2476명)의 44.1%가 현 체계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역 간 의료 불균형’을 꼽았다. ‘특정 분야 의사 부족’(39.9%), ‘건강보험 수가 체계’(36.2%), ‘대형병원 집중 등 의료전달체계 왜곡’(17.3%)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달 23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병원에서 전공의들이 의대 정원 확대 등에 반발하며 의사 가운을 벗고 있다. 연합뉴스

의료 불균형 해소 방안으로는 ‘지역 공공의료 기관 설립·강화’ 의견이 46.4%로 가장 많았고, 특정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결 방안으로는 ‘기피 과목 건강보험 수가체계 개편’(51.5%)이 다수 응답을 차지했다.

일각에서는 권익위의 이번 설문조사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세 대결의 장으로 변질됐다는 지적도 한다. 공공의대 설립이 예정된 지역의 지자체와 의사 관련 단체들 간의 갈등만 증폭시켰다는 것이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