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산하 최대 지방 공기업인 대전도시공사가 한동안 수장 공백 사태를 맞게 됐다.
차기 사장 선임 절차가 지연되며 현 사장의 임기만료 시점부터 열흘 가까이 업무 차질이 불가피하게 된 것이다.
1일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에 따르면 현 유영균 도시공사 사장의 임기는 이달 18일 종료된다.
차기 사장에는 김재혁 전 대전시 정무부시장이 내정됐다. 지난달 24일부로 퇴직한 김 전 부시장은 1986년 국정원에 입사한 뒤 경제단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김 전 부시장에 대한 대전시의회의 인사청문회는 당초 지난달 말이나 이달 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됐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달 13일 기자간담회에서 “김 부시장이 도시공사 사장에 지원했다. 현재 면접까지 마친 상태”라며 “신원조회 등을 거쳐 이달(8월) 말 시의회 청문 절차가 진행될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러나 김 전 부시장은 빨라야 이달 말에나 업무를 시작할 수 있을 전망이다.
퇴직 공직자가 산하기관장으로 자리를 옮기려면 인사혁신처의 공직자윤리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달 25일로 예정된 윤리위원회 심의가 끝난 뒤에는 대전시의회의 인사청문 절차가 남아있다.
의회는 김 전 부시장의 인사자료 등을 최대한 빠르게 검토할 경우 28일쯤 인사청문회를 개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즉 전임 사장의 임기 종료일로부터 최소 열흘은 사장자리가 비게 되는 셈이다.
이 기간 대전유성복합터미널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승인 결과가 나오는 등 굵직한 현안이 산적한 탓에 업무공백 우려는 더욱 높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대전도시공사는 경영이사 직무대리 체제로 운영하며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전도시공사 관계자는 “해당 업무를 담당한 직원들이 계속 있고, 내규에 의한 업무대행자가 있기에 큰 혼란이나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신임 사장이 선임될 때까지 업무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했다.
지역 정치권은 이 같은 상황이 대전시의 미숙한 행정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정무라인을 산하기관장으로 보내는 이른바 ‘회전문 인사’가 아니었다면 원래 일정대로 사장이 선임되며 업무공백이 발생하지 않았을 거란 이유에서다.
무엇보다 지역의 주거복지·균형발전을 총괄하는 경제전문가로서 김 전 부시장의 역량이 여전히 검증되지 않은 상황이라고도 주장했다.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장인 김찬술 의원은 “지금은 유성복합터미널이 민간개발방식으로 이뤄지느냐 마느냐의 기로에 서있는 시기”이라며 “의회에서도 사장의 공백 사태를 최소화 하자는데 의견이 모아졌다”고 했다.
그러면서 “도시공사가 설립된 지 벌써 30년이 됐는데, 회전문이 아닌 말단직원으로 입사해도 사장이 될 수 있는 길을 만들어줘야 하지 않나”라며 “현 내정자가 대전을 잘 알아 업무 적응 기간이 짧다는 것에는 찬성한다. 다만 도시공사를 책임질 수 있는 경제전문가인지에 대해서는 심도있게 청문을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