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전·현직 장관이 보유한 부동산 가격이 2년 전보다 평균 7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재산을 신고한 장관 18명 중 부동산 재산이 많은 순서로는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73억여원,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42억여원,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32억여원, 강경화 외교부 장관 27억여원, 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 18억여원 등이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1일 공개한 장관 부동산 분석 자료를 보면 전·현직 장관 35명이 신고한 평균 부동산 재산은 2018년 10억9000만원에서 올해 19억2000만원으로 77.1% 증가했다.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2주택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는 2018년 17명 중 7명(41.1%), 2019년 17명 중 6명(35.3%), 2020년 18명 중 9명(50%)으로 나타났다. 올해 재산 신고일 기준 다주택자 장관은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2채), 최기영 과기부 장관(3채), 강경화 외교부 장관(3채), 진영 행안부 장관(2채),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2채), 이정옥 여가부 장관(2채),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2채), 박영선 중기부 장관(3채), 추미애 법무부 장관(2채) 등 9명이었다. 이 중 최기영, 이정옥, 강경화, 홍남기 장관 등은 재산신고 이후 주택을 매각한 것으로 언론에 보도됐다.
신고일 기준 서울 강남 4구에 주택을 보유한 장관은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서초구 방배동 1채), 최기영 과기부(서초구 방배동 2채), 김연철 통일부 장관(방배동 1채) 등이다. 최기영 장관은 방배동 1채를 지난 4월 매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실련은 “여전히 올해 신고 기준으로 공직자 중 부동산 부자나 다주택자가 많이 포함돼 있다. 정부의 부동산 투기 근절 및 공직자 청렴 강화에 대한 의지가 여전히 부족하다고 판단된다”며 “고위공직자에 대한 부동산 관련 엄격한 인사기준 마련, 공직자의 시세 기준 부동산재산 공개 및 고지거부 폐지 등 관련 제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