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 겸 보건복지부 차관은 1일 정부세종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나 하나쯤’, ‘설마’라는 방심과 거짓말이 이웃의 일상을 중지시키고 사회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단 1명의 거짓말로 인해 공장 문을 닫아야 했고 접촉했던 2000여명이 검사를 받아야 했다”고 말했다.
경남 창원에서 지난달 27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40대 여성(창원 51번째·경남 217번째) 환자 사례를 언급한 것이다. 이 환자는 지난달 15일 서울 광화문 집회에 참석하고도 이런 사실을 숨기고 검사를 거부했다.
열흘 가까이 이 사실을 숨기며 시간이 흐른 사이 이 환자의 자녀는 물론 이 환자가 일한 편의점 교대자, 편의점에서의 접촉자, 편의점이 입주한 회사 직원, 회사 직원의 접촉자 등 5명이 추가로 확진됐다.
거짓말의 여파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이 편의점이 입주한 공장은 문을 닫고 관계자 1535명이 검사를 받았다. 자녀가 다니는 고등학교 학생과 교직원 482명 등까지 200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검사를 받았고 이로 인해 그 주변 사람들도 불안한 시간을 보내야 했다.
이 환자와의 접촉자들의 자가 격리와 진단 검사, 각종 방역 등에 든 비용만 3억원가량에 달했고 창원시는 이에 구상금을 청구키로 했다.
김 1총괄조정관은 “대다수 국민께서는 일상을 멈추고 경제적 어려움까지 감내하며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고 계신다”면서 “하지만 소수의 일부 집단과 개인의 방역수칙을 위반하는 사례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일상을 멈추고 거리두기 실천이 쉬운 일이 아님을 잘 알고 있다”면서 “그러나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 실천만이 지금의 코로나 확산세를 진정시킬 수 있는 유일한 힘이다. 강화된 거리두기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수도권 방역 조치가 강화되는) 9월 6일까지는 전 국민의 강력한 참여를 간곡히 요청한다”고 호소했다.
정부는 특히 최근 고령 환자 증가로 인한 중증환자가 급증하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 1총괄조정관은 “200명 이상 확진자가 2주째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우려스러운 점은 확진자 가운데 60대 이상 어르신이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중증환자가 2주 전보다 8배 이상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로 인한 사망 위험은 고령 환자와 기저질환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방역 당국은 1명이라도 더 소중한 생명을 살리기 위해 중증환자 병상 확보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고민은 고령자를 위한 돌봄 서비스 중단이 어렵다는 점이다.
김 1총괄조정관은 “감염에 취약한 분들을 보호하기 위해 시설 운영을 중단했지만 돌봄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분들께 서비스 제공은 유지돼야 할 것”이라면서 “지방자치단체와 복지시설에서는 긴급돌봄 제공 시 방역 조치를 강화해주고 안부 전화 등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 제공으로 돌봄 공백을 최소화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