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광화문 집회에 참여한 사실을 끝까지 발뺌하던 일가족 5명 전원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집회 이후 보름이 지나서야 드러난 확진 사실에 그동안 가족과 접촉한 시민들은 추가 감염 불안감에 떨게 됐다.
31일 광주시에 따르면 일가족 5명이 29일과 30일 진행된 코로나 진단 검사에서 잇따라 양성 판정을 받아 광주 363번, 369~371번, 373번 확진자로 분류됐다.
‘숨은 확진자’ 찾기는 광주시가 중앙 방역 당국으로부터 광화문 주변 기지국 통신 내역 조사 결과를 건네받으면서 시작됐다.
방역 당국은 171명 명단에 포함된 20대 남성에게 3차례 전화해 검사를 독려했지만, 남성의 어머니가 전화를 받아 “광화문 집회와 관련 없다”고 거부하기도 했다.
방역 당국이 경찰에 도움을 요청한 끝에 남성은 25일 첫 번째 검사를 받아 이튿날 판단이 모호한 미결정 상태로 재검을 받게 됐다.
남성은 28일 재검사를 받은 후 29일 광주 363번 확진자 판정을 받고 나서야 광화문 집회에 다녀왔다고 당국에 알렸다. 밀접 접촉자인 가족들에 대한 검사와 확진 판정은 불가피했고 당국에 따르면 가족 전원이 확진 판정을 받은 뒤에야 광화문 집회에 다녀온 사실을 진술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광화문 집회 참가자에게 내린 진단 검사 의무화 행정 명령 기한을 애초에 26일에서 30일까지 연장했기 때문에 잘못이 없다고 가족 측이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방역 당국은 감염 시기를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광화문 집회가 있었던 15일 이후로 범위를 폭넓게 잡아 동선을 조사하고 있다.
현재까지 PC방, 도매점 등 일부가 나왔지만, 기간이 긴 만큼 방문 장소도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가족 1명이 검사받을 때조차 다른 가족들은 검사받지 않다가 접촉자로 분류되고 나서 검사를 받았다”며 “역학 조사 과정 등 정황을 면밀하게 분석해 고발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황금주 인턴기자